산업 기업

도 넘은 현대차 노조의 '내몫 챙기기'

"임금 인상률 지난해보다 낮아"

노사 잠정합의안 78%가 반대

"고액 연봉임에도 이기주의 과도"

임금협상 문제로 파업을 벌였던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이번에는 급여 인상률이 적다는 이유로 노사 잠정합의안마저 부결시켜 ‘내몫 챙기기’가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사는 조만간 2차 잠정합의안 마련에 들어간다.

현대차의 관계자는 “노조가 1차 합의안을 부결시킨 만큼 빠른 시일 안에 재협상에 들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26일 조합원 4만9,66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잠정합의안 찬반투표에서 투표자 4만5,777명(투표율 92.17%) 가운데 3만5,727명(78.05%)이 합의안을 반대해 부결됐다.


부결 이유는 단연 낮은 임금 인상률이었다. 현대차 노사가 지난 24일 마련한 잠정 합의안은 임금 5만8,000원 인상을 비롯해 성과급 및 격려금 350%에 추가로 330만원과 재래시장 상품권 20만원, 주식 10주 지급이 뼈대다. 지난해 임단협 합의안(임금 8만5,000원 인상, 성과·격려금 400%+420만원, 주식 20주 지급)이나 2014년 합의안(임금 9만8,000원 인상과 성과·격려금 450% + 890만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관련기사



노조 내부에서는 임금협상 기간 임금 손실을 감내하며 14차례나 파업을 벌였는데 그에 대한 성과물로는 너무 부족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이 때문인지 찬성률 21.9%는 역대 최저치다.

하지만 노조는 이번 투쟁으로 임금피크제에 대한 양보를 얻어냈다. 또 국내외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서도 적지 않은 임금인상안을 이끌어 냈다는 게 재계의 시선이다. 업계 고위관계자는 “근로자 1명당 연봉이 상당한 수준임에도 급여를 더 받겠다고 파업을 한 것도 모자라 노사 잠정합의안마저 부결시킨 것은 노조 이기주의가 과도하다고밖에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노·노간의 세력다툼도 합의안이 부결되는데 한몫했다. 현대차 노조 내부에는 7∼8개의 노동조직이 서로 갈등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 내부 조직들은 2년마다 노조위원장(지부장)을 배출하기 위해 선명성 경쟁을 하고 있다.

현대차 안팎에서는 추가 파업 가능성을 전망하고 있다. 노조 집행부 입장에서는 노조원의 불만을 달래기 위해서는 사측의 파격적인 양보를 얻어내야 하는 탓이다. 업계 관계자는 “압도적인 반대를 이겨낼 만한 합의안을 마련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추가 파업 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며 “현대중공업 등 아직 올해 임단협 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한 다른 제조업체들 역시 협상에 상당한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박재원기자 wonderful@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