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택지공급 줄고 보증 강화...속끓는 중견건설사

"과도한 규제로 결국 정부 사업만 할 판"

정부가 주택공급 축소를 위해 추가적으로 공공택지 공급을 줄여나가기로 하면서 중견건설사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2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수도권 공공택지사업을 주로 진행하는 중견건설사 A사는 지난 24일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발표 이후 주택영업본부를 중심으로 앞으로 주택건설환경에 변화에 따른 대책회의를 진행했다. A사 관계자는 “공식적인 대책회의는 아니었고 본부장 주재로 ‘브레인스토밍’ 식으로 자유롭게 의견 교환이 이뤄졌다”며 “위기 상황임을 공감했지만 뾰족한 대안을 마련하기는 힘들었다”고 말했다.


다른 중견 건설사와 시행사들이 느끼는 위기감도 다르지 않았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국내에서 민간택지 사업을 하기에는 규제가 너무 많고 관련 제도도 제대로 정비돼 있지 않다”며 “이런 상황에서 공공택지 공급을 추가로 더 조이고 나서는 것은 업계를 고사시키는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정부가 택지 공급 축소와 함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보증 시기를 사업계획 승인 이후로 조정하고 중도금 대출 보증도 부분 보증으로 강화해나갈 예정이라, 미리 확보해 둔 택지가 있어도 당장 주택 사업을 진행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대한주택건설협회 관계자는 “택지 공급 축소만으로도 충분히 정부가 원하는 주택 수요를 조절할 수 있는데 PF대출 보증 등을 규제하는 것은 과도하다”며 “중도금 보증이 90%로 줄어들게 되면 금융권에 손을 빌릴 수밖에 없는데 대출 금리가 높아지는 등 건설사와 수요자의 부담만 크게 늘어날 뿐”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각 건설사가 대안은 마련하고 있지만 획기적인 방안은 보이지 않는다. 반도건설의 경우 뉴스테이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호반건설은 재개발·재건축 등 민간사업과 토목 사업 분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려 하고 있다. 신동아건설은 최근 재개발·재건축 관련 조직을 강화했고 동문건설 역시 도시정비사업으로 영역을 확장 중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민간개발·민관합동사업 등으로 업역을 확대하고 재개발·재건축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려는 시도는 이전부터도 계속되고 있지만 대형사들의 틈바구니에서 경쟁 자체가 힘든 상황”이라며 “결국 뉴스테이나 행복주택 등 정부의 중점 사업만 추진할 수밖에 없다는 푸념마저 나온다”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