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오늘의 가전] LG전자, IFA서 고화질 HDR 방송 실시간 시연

영국 BBC·유럽방송연합 등과 협업

HFR 및 HLG 규격 시험 방송

고화질 HDR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LG전자 시그니처 TV 모습. LG전자는 내달 2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막하는 IFA 2016에서 영국의 BBC, 유럽방송연합(EBU) 등과 협업해 세계 최초로 1초에 화면수가 최대 120장인 고화질 HDR 방송을 실시간으로 시연한다고 밝혔다. 초당 화면수가 많아지면 달리는 육상선수의 발과 같은 빠른 움직임도 또렷하게 볼 수 있다./사진제공=LG전자고화질 HDR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LG전자 시그니처 TV 모습. LG전자는 내달 2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막하는 IFA 2016에서 영국의 BBC, 유럽방송연합(EBU) 등과 협업해 세계 최초로 1초에 화면수가 최대 120장인 고화질 HDR 방송을 실시간으로 시연한다고 밝혔다. 초당 화면수가 많아지면 달리는 육상선수의 발과 같은 빠른 움직임도 또렷하게 볼 수 있다./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TV 제조사로는 처음으로 1초에 화면수(프레임)가 최대 120장인 고화질 HDR 방송을 실시간으로 시연한다.

LG전자는 내달 2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막하는 IFA 2016에서 영국 방송사BBC, 유럽방송연합(EBU), 유럽 최대 위성방송 사업자 아스트라(ASTRA) 등과 협업해 세계 최초로 HFR(High Frame Rate)를 적용한 HLG(Hybrid Log Gamma) 방송을 실시간으로 시험 방송한다고 29일 밝혔다.

HFR로 제작한 영상은 초당 화면수가 최대 120장이다. 대부분 초당 24장으로만들어지는 영화와 비교하면 초당 화면수가 5배 많다. 1초에 보여줄 수 있는 화면수가 많아지면 달리는 육상선수의 빠른 발도 또렷하게 볼 수 있다. HLG는 영국의 BBC와 일본의 NHK 등이 공동으로 개발한 차세대 HDR 방송 규격이다. 기존 HDR 규격으로 만든 콘텐츠는 HDR 기능이 있는 TV에서만 제대로 볼 수 있는 데 비해 HLG 규격으로 만든 HDR 콘텐츠는 HDR 기능이 없는 일반 TV에서도 일반 화질로 볼 수 있다.


방송사가 HLG를 이용하면 기존처럼 일반 TV를 위한 영상과 HDR 영상을 각각 전송하지 않고 HDR 영상만 내보내면 돼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본은 HDR 위성방송 표준 규격으로 HLG를 채택했고, 유럽에서도 지상파 UHD 방송 표준 규격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 일본과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LG전자의 TV가 인기를 끌수 있는 환경이다.

관련기사



LG전자는 IFA 2016에서 울트라 올레드 TV로 HLG를 비롯해 돌비비전, HDR 10 등 다양한 규격의 HDR 영상을 시연한다.

권봉석 LG전자 HE사업본부장(부사장)은 “돌비비전, HDR10, HLG 등 다양한 규격의 HDR 영상을 보여주는 기술로 글로벌 프리미엄 TV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