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대선 앞두고 선관위 해킹…일리노이·애리조나주 보안 '비상'

FBI, 수사 착수 '해킹주의보' 발령

IP주소와 해킹 수법 '러시아'와 유사…러시아 해커 소행 추정

미 선거 당국이 사이버 테러에 무방비로 당하면서 70여 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에 또다시 해킹 비상이 걸렸다. 이에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주(州) 선거관리위원회가 러시아로 추정되는 외국 해커의 공격을 당한 정황을 발견했다며 각 주에게 보안에 각별히 신경 써 달라고 당부했다.

미 온라인매체 야후 뉴스에 따르면 FBI 사이버 수사국은 “이번 여름, ‘주 선관위를 표적으로 한 활동’이라는 해킹 경보를 발령하고, 현재 2개 주에서 해킹으로 인해 유권자 등록 정보가 유출된 사건을 수사 중이다.


FBI는 우선 해킹에 이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아이피(IP) 주소 8개를 적시했고 미 사이버보안업체의 최고정보책임자인 리치 바거는 “FBI가 공개한 IP 중 하나에 러시아 정부가 개입된 해커 그룹이 이미 이용했던 것이며 해킹 수법도 러시아 정부가 지원하는 사이버 공격과 유사하다”고 말했다. 이에 지난 7월 미국 민주당 전국위원회(DNC)와 이달 중순 워싱턴포스트(WP) 해킹사건과 마찬가지로 주 선관위 해킹도 러시아 정보조직과 연계된 해커들의 소행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돼, 대선 정국에 불안이 조성되고 있다.

관련기사



FBI는 2개 주의 명칭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야후 뉴스는 수사 당국 관계자를 인용해 일리노이와 애리조나 주 선관위가 사이버 공격을 받았으며, 특히 일리노이에서는 유권자 20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보도했다.

이에 해킹 피해를 본 일리노이 주 선관위의 켄 멘젤 자문위원은 FBI와 접촉한 후 “FBI는 이번 사건을 외국 해커의 소행으로 확신하고 있으며, DNC 해킹사건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당과 언론사에 이어 선거를 주관하는 선관위의 유권자 등록 정보까지 유출돼, 오는 11월 치러지는 미 대선의 선거 조작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이는 향후 대선 결과에 대한 혼란과 불신까지 초래할 수 있어 이번 선관위 해킹사건의 파장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이재아인턴기자 leejaea555@sedaily.com

이재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