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서울경제TV] 김영란법 ‘3·5·10’ 확정에 유통업계 희비 교차

정부, 김영란법 가액기준 3·5·10만원 확정

대형마트, 5만원미만 실속 제품군 확대 전략

편의점업계 “낮은 단가 상품 많아 우려 안해”

농축산업계, 직접 타격 예상 “김영란법 실망 커”





[앵커]

‘부정청탁 및 금품 수수금지법’인 일명 김영란법의 가액기준이 원안대로 확정되면서 유통계에서는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금액대가 낮은 마트와 식품업계에서는 기대하고 있지만, 고가 상품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백화점업계에서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박미라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어제 일명 김영란법의 식사·선물·경조사비의 가액 기준을 3만·5만·10만원으로 확정했습니다.

이에 대해 유통 업계는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소비 위축이 우려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5만원 미만의 저가 제품이 많은 대형마트에서는 실속형 제품군을 더욱 늘리겠다는 입장입니다.

백화점에서 선물을 구매하던 소비자들이 대형마트로 발길을 옮기는 것을 기대하는 분위기입니다.

편의점업계는 5만원 미만의 낮은 단가 상품이 많다 보니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는 느긋한 표정입니다.


오히려 상품군이 다양해져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유통업계와 달리 직접적으로 타격을 입는 농축산업계는 크게 실망하고 있습니다.

농축산연합회 측은 300만명의 농축산인과 내수경기를 더 어렵게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함태수 / 농축산연합회 사무국장

”근본 취지는 좋은거에요. 그런데 문제는 (농축산인의 상황을) 당장 고려하지 않고 무턱대고 시행한다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명절 선물세트 매출에서 5만원 넘는 제품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백화점도 상황은 마찬가집니다.

올 추석은 당장 김영란법이 적용되지 않는데도 정부기관 등에서 선물 단가를 낮춘 것으로 파악된다고 백화점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사상 유례없는 김영란법 시행을 앞두고 유통업계가 어떤 자구책을 마련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서울경제TV 박미라입니다.

[영상편집 소혜영]

박미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