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표준연, 박막태양전지 분석 국제표준 확립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 등 첨단소자 개발에 큰 영향

'전수합산' 새 기술 사용해 측정불확도 1.5배 향상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표면분석 연구팀이 30일 박막조성분석 장비인 XPS를 활용해 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조성분석을 실시하고 있다./사진제공=한국표준과학연구원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표면분석 연구팀이 30일 박막조성분석 장비인 XPS를 활용해 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조성분석을 실시하고 있다./사진제공=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박막태양전지 성분 분석의 국제표준을 확립해 첨단 산업체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게 됐다. 표준연 측은 앞으로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를 비롯한 첨단소자 개발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표준연은 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박막의 정량분석에 관한 새 방법을 제시해 영국과 독일, 미국 등의 국가표준기관들이 참여한 국제비교를 성공적으로 주관했다고 30일 밝혔다.

관련기사



국제비교는 각 국가의 측정 표준 능력이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으로, 국가 간 측정 동등성을 확인하고 소급체계를 확보하여 최상위 국제표준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표준연은 CIGS의 깊이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박막을 ‘전수합산법’이라는 새로운 분석기술로 정량분석에 성공했다. 이후 예비 실험을 통해 전수합산법이 대부분의 표면분석법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국제비교 결과, 전수합산법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불확도가 기존 방법보다 1.5배나 향상된 우수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표준연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박막태양전지 인증표준물질(CRM)을 타 국가표준기관들에게 제공했다.

김경중 표준연 신기능재료표준센터 박사는 “표준연은 첨단산업 핵심 측정에 관한 국제표준을 선도하고 있다”며 “측정난제 해결과 관련 표준 제공을 통해 첨단 산업체의 국제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