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선주협회·부산항만공사 등 유관기관 "한진해운 3,000억 유동성 마련 논의 진행"

한국선주협회와 부산광역시, 부산항만공사, 부산 지역 금융업체 등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앞둔 한진해운의 부족한 유동성 3,000억원을 마련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관련 단체들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돌입할 경우 수십조원의 자산이 사라지고 부산항 매출도 7조~8조원 가량 급감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31일 한국선주협회에 따르면 이날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5층 컨벤션센터에서는 ‘한진해운 살리기 범시민 결의대회’가 열렸다. 부산항만산업협회, 부산광역시 등 25개 단체가 전날 발족한 ‘한진해운 살리기 시민 대책위’가 주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한진해운이 부산항에 미치는 영향 등이 논의됐다. 또 한진해운의 부족한 유동성 3,000억원을 시민 단체 및 관련 기관들이 조성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실질적 논의가 진행됐다. 한국선주협회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결론이 난 것은 없지만 지역 경제를 위해 함께 나서야 한다는 큰 틀에서는 공감대가 있다”며 “실제로 자금을 조성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날 결의대회 참가 단체들은 탄원서를 통해 한진해운을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체들은 “한진해운은 한국 해운업의 뿌리”라며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간다면 한국 경제 전체를 뒤흔드는 나비효과를 불러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단체들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수십조원의 글로벌 네트워크 자산 역시 그대로 사라지게 될 것”이라며 “한진해운이 담당했던 연간 100만개 이상의 환적화물 가운데 절반 이상이 중국과 일본 등의 항만으로 떠나고 부산항 매출 역시 7조~8조원 줄어 관련 산업의 연쇄 타격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한진해운에 3,000억원 지원을 아끼려다 국내 해운업 전체로 17조원 손실을 떠안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한다“며 “이해 관계를 떠나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한 대승적 차원의 돌파구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한진해운 살리기 시민 대책위’는 청와대와 산업은행, 채권단, 금감원, 금융위원회 등에 한진해운을 살려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하고 유동성 지원에 호소한 바 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