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생활임금 3년내 1만원으로"

남경필 지사 연도별 인상 추진

남경필 경기도지사남경필 경기도지사


경기도는 올해 시급 7,030원인 생활임금을 오는 2019년까지 1만원으로 인상하기로 했다고 31일 밝혔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조승현 경기도생활임금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경기도청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내년도 생활임금 1만원 목표제 도입 등을 발표했다.


생활임금은 근로자가 가족을 부양하며 교육·문화 등 분야에서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저임금 등을 고려해 정한 임금을 말한다. 올해 최저임금은 시급 6,030원이다.

앞서 도의회 더불어민주당과 경기도, 새누리당은 지난달 26일 생활임금 인상을 연정협약서에 포함, 2기 연정의 핵심과제로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내년 7,910원, 2018년 8,900원, 2019년 1만원 등 연도별로 생활임금을 올리기로 했다.


생활임금 대상은 경기도 소속 기간제근로자 463명, 산하기관 소속 근로자 234명 등 697명이다.

관련기사



이들의 월급액은 내년도의 경우 165만3,190원(7,910원×209시간·근로기준법상 통상근로시간)이 된다. 2019년에는 209만원으로 늘어난다.

도는 생활임금 목표액을 1만원으로 정한 이유에 대해 고용노동부 최저임금위원회가 올해 발표한 우리나라 2인 노동자 가구의 월평균 생계비 270만원을 기준으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남 지사는 “생활임금 1만원 시대는 도민 행복을 위한 2기 민생연정이 빚어낸 결과물”이라며 “합리적 수준의 임금 인상은 경제 활성화와 경기 부양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생활임금을 결정하는 경기도생활임금위원회 조승현(더불어민주당 도의원) 위원장은 “경기도뿐 아니라 생활임금제를 도입하는 민간 기업이 많이 나타나 더 풍요로운 경기도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기도 생활임금위원회는 조 위원장, 노사 대표 2명, 근로자·임금 전문가 2명, 주민 대표, 비정규직 대표, 노무사, 경기도청 경제실장 등으로 구성됐다.

도는 지난 2014년 7월 광역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생활임금 조례를 제정했으며 1기 연정협약서 과제로 넣어 지난해 3월부터 시행 중이다. 지난해 생활임금 시급은 6,810원(최저임금 5,580원)이었다. /수원=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