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폐막 후에야…중일 정상 30분 ‘짤막한 회담’

習 "영유권 문제 공동노력을"

아베 "안정적 우호관계 구축"

신경전 속 대화 나설지 주목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양자 회담이 5일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폐막 이후에야 성사됐다.

1년 5개월 만에 열린 양국 정상회담은 아베 총리의 요청으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일본의 요청에 대해 시 주석의 빠듯한 일정을 이유로 G20 정상회의 폐막 이후인 이날 밤에 30여분 짤막한 시간만을 내주며 의도적으로 일본을 홀대하는 인상을 숨기지 않았다. 외교가에서는 아베 총리가 최근 각종 외교 채널을 통해 중국의 동·남중국해 영유권 강화를 비판하는 등 중국을 자극해온 데 대해 중국이 강한 반감을 드러냈다는 것이 지배적인 분석이다.


신화통신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회담에서 시 주석은 “일본은 남중국해 문제 언행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촉구하면서 “양국이 영유권 문제를 적절히 처리하는 데 공동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아베 총리는 “전략적 호혜 관계라는 입장에서 곤란한 과제를 계속 관리하면서 안정적 우호 관계를 구축해가고 싶다”고 답했다. 아베 총리는 북한이 이날 낮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으로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한 것에 대해서는 “G20 회의 개최 중 발사를 강행한 것은 용인하기 어려운 폭거”라면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양국이 연대 대응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아베 총리는 또 이날 회담에서 양국 간 영유권 분쟁이 있는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해와 인근 접속수역에 중국 당국의 선박이 잇따라 진입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며 이 지역에서 양국의 우발적 충돌을 피하기 위한 연락체계 조기 운영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양국 간 대화 재개 노력의 일환으로 연내 일본에서 한중일 3개국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 주석도 센카쿠열도 문제 등으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어서 양국 정상이 팽팽한 신경전 속에서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아베 총리와 시 주석은 지난 2014년과 2015년 두 차례 정상회담을 했으며 이번 중일 정상회담은 지난해 4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 이후 1년 5개월 만이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