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테리사 메이 英 총리 "한국 등, FTA 협상 환영"

영-호 FTA 논의 이달 시작.."한국 등 무역장벽 제거 긍정적"

EU, 정식 탈퇴 전 타국과 FTA 협상 반대

5일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운데)가 말콤 턴불 호주 총리와 면담하던 중 카메라를 쳐다보고 있다./EPA연합뉴스5일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운데)가 말콤 턴불 호주 총리와 면담하던 중 카메라를 쳐다보고 있다./EPA연합뉴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 한국과 영국간 새로운 무역관계 수립에 대해 긍정적인 의사를 내비쳤다.

5일 AFP 통신에 따르면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메이 총리는 말콤 턴불 호주 총리와 면담한 뒤 “호주 통상 담당 장관이 무역협상을 위한 면밀한 논의를 위해 이주 내 영국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호주 외에도)한국과 인도, 멕시코, 싱가포르 등은 무역장벽을 제거하는 협상을 환영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메이 총리와 얼굴을 마주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영국 측에 자유무역협상(FTA) 관련 논의를 전개하기 전 포스트 브렉시트 이후의 경제발전 계획 등에 대해 구체적인 청사진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이 총리는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후 전 세계 주요국들과 무역협정을 맺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장-클로드 융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영국이 EU 회원국으로 남아 있는 동안 다른 경제체제와 FTA 협상을 벌이는 것에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견제구를 날렸다.

관련기사



융커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EU를 탈퇴하기로 했으나 아직 회원국인 나라를 포함해 EU 회원국이 FTA를 협상하는 방안에 대해 반대한다”면서 무역문제에 대한 협상 권한은 EU의 배타적 권한이라고 말했다.

메이 총리는 연내까지는 EU 탈퇴 협상의 공식 개시를 뜻하는 리스본조약 50조를 발동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리스본조약 50조에 따르면 회원국이 EU 탈퇴 협상 개시를 통보하면 그로부터 2년간 회원국과 EU 다른 회원국들이 향후 관계를 재설정하는 탈퇴 협상을 벌인다. 만약 2년 내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회원국은 EU를 자동 탈퇴하게 된다.

한편 메이 총리는 이번 G20 정상회의 기간 브렉시트 국민투표를 앞두고 탈퇴 진영에서 제시한 호주의 ‘포인트 방식’ 이민 억제 방안을 배제했다. 메이 총리는 탈퇴 협상의 최대 쟁점인 EU 출신 이민 통제를 위한 노동 이동의 자유와 EU 단일시장 접근권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고 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