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진 '조양호 사재' 포함 해운에 1,000억 투입

産銀도 "법원 요청땐 지원 검토"

한진그룹이 한진해운발(發) 물류대란을 진화하기 위해 조양호 회장의 사재 400억원 등 자체적으로 1,000억원을 투입한다. 정부가 ‘대주주책임론’을 내세우며 압박하자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일주일 만에 ‘결자해지’에 나선 모습이다.

한진그룹의 지원 규모는 물류대란 전체를 해결하는 데는 미흡하지만 채권단의 추가 지원을 이끌어내는 동기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 사태의 새로운 분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법원의 요청이 있다면 (지원에 대해)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혀 지원 가능성을 내비쳤다. 한진그룹은 6일 그룹 대책회의를 열어 해외터미널(미국 롱비치터미널 등) 지분 및 대여금 채권을 담보로 600억원을 지원하고 조 회장이 사재 400억 원을 출연하는 등 총 1,000억원을 그룹에서 자체 조달해 한진해운 컨테이너 하역 정상화에 나서기로 했다.

회사 측은 “한진해운이 이미 법원 관리 아래 들어갔지만 그룹 차원에서 수출입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세계 2위 선사인 스위스 MSC가 롱비치터미널 지분 인수에 관심을 갖고 물밑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한진은 자금지원 외에 대한항공이 가용 화물기를 최대한 동원하는 비상지원 시스템을 마련하고 ㈜한진은 비상 태스크팀을 구성해 즉각적인 해상화물 하역 처리 및 긴급화물 항공편 대체수송 방안 등을 준비한다.

다만 한진해운이 이미 법정관리에 들어간 상황에서 이 회사 자산인 롱비치터미널 지분을 담보로 계열사에 최우선변제권을 제공할 경우 다른 채권자와의 형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은 향후 법적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과 산업은행은 한진 측의 발표에 환영의 뜻을 표했지만 채권단 차원의 추가 지원에는 아직 난색을 표하고 있다.

한편 한진그룹의 자구책 발표에 앞서 당정은 한진그룹이 담보를 제공할 경우 1,000억원 이상의 장기저리 자금을 긴급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진은 이 자금을 쓸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이후 자금 사정에 따라 추가 대출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서일범·박재원기자 wonderful@sedaily.com

박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