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혼자서도 잘해요"…1인 가구 비중 역대 최고

가구원수 규모/출처=통계청가구원수 규모/출처=통계청


1인가구의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인가구는 가구 유형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기준 1인가구의 비율은 27.2%로 집계됐다. 5년 전 조사에서 1인가구의 비율은 23.9%였다. 5년 동안 1인가구는 99만 가구 늘어났다.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조사에서는 4인가구가 가구 유형 중 가장 비중이 컸다. 그러나 2010년 조사에서는 2인가구가 24.6%를 기록하며 가장 주된 가구 유형이 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처음으로 1인가구가 2인가구(26.1%)를 앞질렀다.


연령별로는 30대가 18.3%로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의 비중이 가장 컸다. 70세 이상이 17.5%로 뒤를 이었고, ▲20대 17% ▲50대 16.9% ▲40대 16.3% 순이었다. 1인 가구의 비중이 청년층에서 뿐만 아니라 고령층에서도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1인가구의 거주형태로는 단독주택이 52.1%로 1위였다. ▲아파트(27.5%), ▲다세대(8.3%), ▲비거주용 건물내주택(2.3%)이 뒤를 이었다.

하봉채 통계청 등록센서스과장은 “경제활동 인구가 늘어나면 1인가구는 자연적으로 늘어난다”며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대학생들의 타지역 유학 등을 1인가구의 비중을 높이는 요인으로 손꼽았다.

연도별 총조사 가구 및 증감률/출처=통계청연도별 총조사 가구 및 증감률/출처=통계청


한편 일반가구의 평균 가구원수는 2.53명으로 2010년(2.68명)보다 0.15명 줄었다. 2015년 11월 기준 우리나라의 총 가구는 1,956만가구로, 2010년보다 8.9%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가구가 전체의 48.7%로, 5년 조사 때보다 8.8% 늘었다. 특별시·광역시에 사는 가구는 893만9,000 가구로 7.8%, 도 지역은 1,062만2,000 가구로 9.9% 늘었다. 경기에 사는 가구가 453만8,000 가구로 가장 많았고 서울 391만5,000 가구, 부산 134만8,000 가구 순이었다. 지난 5년간 가장 많이 가구가 늘어난 곳은 인구 유입 속도가 가파른 제주(17.8%)로 나타났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