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내 신재생에너지 생산 비중 OECD 가운데 ‘꼴찌’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생산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꼴찌’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정유섭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출받은 ‘OECD 국가별 재생에너지 생산량’ 자료에 따르면 2005~2013년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1차 에너지 총량 대비 재생에너지 비율은 평균 0.7%에 불과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OECD 34개국 가운데 꼴찌를 차지했다. 해당 기간 우리나라는 연평균 1,683K톤(석유환산톤)을 생산, OECD 회원국 전체의 연평균 생산량(40만1,898K톤)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42%에 그쳤다. 같은 기간 미국은 12만521K톤, 캐나다는 4만5,826K톤, 독일은 2만5,758K톤을 생산했다. 재생에너지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85.8%를 기록한 아이슬란드로, 노르웨이는 42.2%, 뉴질랜드도 35.5%에 달했다.

관련기사



정 의원은 “2008년 발표된 국가에너지 기본계획 1차 계획이나 2013년 2차 계획에서 모두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를 11%로 제시했지만 지난 10년간의 실적은 목표치의 10분의 1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면서 “원자력 에너지 등에 대해 지나치게 높은 의존도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