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반구대암각화 보존 해법 논란 종지부 찍나

울산시 생태제방안

문화재청 수위조절안

타당성 검증...연내 결론

울산 울주군 대곡리의 반구대암각화. 국보 제 285호 반구대암각화는 1971년 발견 이후 1995년 국보로 지정됐으나 1965년에 축조된 사연댐으로 인해 반복적인 침수와 노출로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다. /울산=장지승기자울산 울주군 대곡리의 반구대암각화. 국보 제 285호 반구대암각화는 1971년 발견 이후 1995년 국보로 지정됐으나 1965년에 축조된 사연댐으로 인해 반복적인 침수와 노출로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다. /울산=장지승기자




국보 제 285호 반구대암각화 보존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용역이 다시 추진된다. 울산시가 주장하는 생태제방안과 문화계에서 제기한 사연댐 수위조절안의 타당성을 검증한다는 계획으로 늦어도 올해 안에 결론을 내린다.


11일 울산시에 따르면 시와 문화재청이 협의를 통해 이달 중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 마련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한다. 2000년부터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 논의를 시작한 울산시와 문화재청은 보존 방식을 두고 이견을 보이다 2013년 카이네틱 댐(가변형 임시 물막이) 설치에 합의하고 실내실험 등 사전검증 작업을 벌여왔다. 하지만 올해 5월 실험이 실패하면서 29억원의 돈과 3년의 시간을 허비했다. 반구대암각화는 1971년 발견 이후 1995년 국보로 지정됐으나 1965년에 축조된 사연댐으로 인해 반복적인 침수와 노출로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다.

관련기사



이번 용역은 울산시와 문화재청이 가변형 임시 물막이 실패 직후 생태제방안, 수위조절안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대안을 모두 검토해 최선의 보존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올해 안으로 용역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으로 1억1,000만원이 투입된다.

용역에서는 그동안 울산시가 제시했던 생태제방안에 대한 집중적인 검토가 이뤄진다. 울산시는 암각화 앞쪽 80m 지점에 길이 440m, 높이 15m, 너비 6m의 둑을 쌓아 물이 암각화가 있는 바위벽면 쪽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고 물길은 다른 곳으로 돌리는 방안을 제시해 왔다. 울산시민의 식수원인 사연댐의 수위는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이 중점 사안이다. 반면 문화재청이 원하는 수위조절안은 사연댐의 수위를 낮춰 반구대암각화를 물에 잠기지 않게 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울산시민의 식수 문제가 남는다.

울산시와 문화재청은 용역 결과가 나오면 그 결과에 따라 문화재위원회 상정 등 절차를 밟아 보존방안의 실행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을 통해 반구대암각화 보존해법을 확정 짓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