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건강보험 재정흑자 구조 이대로 유지해나가야

건강보험의 곳간에 쌓아놓은 누적 적립금이 20조원을 넘어서면서 보건의료 시민단체들 간에 건강보험료를 삭감하거나 보장을 강화하는 형태로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건강보험이 당해 연도 지출을 예상하고 수입계획을 세우는 ‘단기보험’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당국이 해마다 필요 이상으로 보험료를 많이 거뒀기 때문에 누적 흑자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건강보험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이 같은 주장은 자칫 포퓰리즘으로 흐를 여지가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노인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가 진행 중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오는 2026년, 그러니까 정확히 10년만 지나면 65세 이상 노인이 인구 전체의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다. 1,000만명이 노인 인구가 된다는 이야기다. 이렇게 되면 노인 진료비도 급증할 수밖에 없다. 지금도 노인 질환 관련 급여액이 매년 15% 이상씩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일부 시민단체의 주장대로 보험료를 삭감하거나 보장 강화에 나설 경우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기하급수적 비용 증가로 자칫 제2의 공무원연금이나 군인연금 꼴이 날 수도 있다. 그 후의 건강보험료 폭탄을 누가 부담할 것인가를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건보료 개선이 필요하다면 당장의 나눠 먹기보다 건보료 부과 체계에서의 불공평 해소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지금도 집을 여러 채 보유한 채 가족의 피부양자로 등록해 건보료를 한 푼도 내지 않는 사람이 70만명에 가까울 정도다.

정부 역시 흑자 기조를 이유로 건강보험에 대한 국고지원액을 삭감하려는 것은 현명한 방책이 아니다. 그렇게 하면서 정부 스스로 적립금 부족 타령만 해봐야 설득력이 있을 리 없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시민사회단체들이 건강보험에서 보장성을 확대하지 않고 돈을 계속 적립하려는 이유가 국고지원 축소 시도에 있는 것이라며 의구심을 제기하겠는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