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노벨상 파무크 “터키, 사상의 자유 죽었다”





터키 지식인의 상징이자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인 작가 오르한 파무크(사진)가 “터키에 사상의 자유가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파무크는 11일 이탈리아 언론 라레푸블리카 1면에 실린 공개 서신에서 에르도안 정권을 향해 “터키는 정부에 대해 조금이라도 비판의 목소리를 낸 모든 사람을 계속 잡아들이고 있다”며 “우리는 법치국가로부터 광속으로 멀어져 공포정치체제로 향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쿠데타 이후 대량 해고와 구금의 근원에는 ‘포악한 증오’가 도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파무크는 에르도안 정권에 비판적인 시각을 꾸준히 드러낸 지식인이지만 이번 쿠데타 이후 숙청에 관한 공개적인 견해 표명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터키 언론은 파무크의 공개서신 내용에 침묵하고 있다.


파무크는 올해 6월 같은 이탈리아 언론과 인터뷰에서는 “터키는 지난 15년간 급격하게 변했다. 민주주의 축소와 표현의 자유 억압 등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현재 자신의 소설 ‘순수 박물관’에서 영감을 얻은 영화 제작을 돕느라 이탈리아에 체류 중이다.

파무크는 ‘하얀성’ ‘내 이름은 빨강’ ‘눈’ 등의 작품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2006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이날 라레푸블리카에는 파무크 외에도 영국의 사회비평가이자 부커상 수상작가인 존 버거 등 지식인 약 40명이 터키정부의 ‘마녀사냥’을 비판하며 언론인 등의 석방을 촉구하는 서신이 실렸다.

터키정부는 쿠데타 수사 과정에서 쿠데타와 직접 관련성이 없는 지식인과 언론인도 대거 연행했으며, 언론사 150여 곳의 문을 닫았다.

가장 최근에는 저명한 언론인 아흐메트 알탄과 동생 메흐메트를 쿠데타 연루 혐의로 이달 10일 구금했다. 검찰은 알탄 형제가 쿠데타 전날 방송된 TV 프로그램에서 쿠데타 개시를 암시하는 언급을 했으며, 이는 이들이 쿠데타 배후세력과 연계된 증거라는 주장을 펼쳤다.

같은 방송에 출연한 언론인 나즐르 을르작은 앞서 7월말 연행돼 조사를 받았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