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성김 미 6자수석 "북한 도발에 강력 대응"

대북제재 조율차 방한…김홍균 본부장과 회동

안보리 추가제재·양자 독자제재·글로벌 대북압박 논의

北 김정은 제재 리스트 추가 등 검토

성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12일 오후 서울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연합뉴스성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12일 오후 서울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과 미국의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가 12∼13일 서울에서 만나 최근 5차 핵실험을 실시한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 방안을 집중적으로 협의한다.

미국 측 수석대표인 성 김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12일 오후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하면서 북한의 최근 핵실험을 거론하며 “북한의 도발에 강력히 대응하기 위해 6자회담 당사국 및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성 김 대표는 곧바로 우리측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찬을 겸한 협의를 한 데 이어 13일 오전 한미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에 나선다. 이어 공동 기자회견도 할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정부 당국자는 한미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과 관련해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추가 제재는 물론 양자 차원의 독자 제재, 글로벌(국제사회) 차원의 대북 압박 등이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특별대표는 앞서 일본을 방문해 일본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가나스기 겐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만나 안보리 추가 제재 및 양자 차원의 제재를 통해 북한에 대해 “최대한 강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연대하기로 했다.

한국과 미국 외교당국은 이미 안보리 추가 제재 결의 논의에 착수했으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회 위원장을 안보리 제재 리스트에 올리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이 안보리 제재 리스트에 오를 경우 유엔 회원국으로의 여행이 금지돼 향후 예상해볼 수 있는 북중 정상회담 등에도 큰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김 특별대표는 미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로서는 이번 방한이 사실상 마지막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필리핀 주재 미국 대사에 내정된 상태로 지난 7월 상원 청문회를 마친 뒤 인준을 기다리고 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