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폭발 사고에도 삼성 로열티 여전

해외 설문서 삼성 신뢰도 낮아졌다는 답변 24%에 그쳐

37%는 리콜 결정으로 오히려 신뢰 높아졌다고 밝혀

또 다른 설문 조사결과 응답자 63%가 "노트7 교환하겠다"

ICT 수출 11개월째 미끄럼…노트7 파문에 ‘첩첩산중’

12일 오전 인천공항 출국장에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 7 배터리 폭발사고와 관련한 국토교통부의 권고 안내문이 게시돼 눈길을 끌고 있다./이호재기자.12일 오전 인천공항 출국장에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 7 배터리 폭발사고와 관련한 국토교통부의 권고 안내문이 게시돼 눈길을 끌고 있다./이호재기자.




삼성전자 서비스센터 직원이 배터리 폭발 가능성을 진단하는 컴퓨터프로그램에 고객의 갤럭시노트7 제품을 연결해 전압이상 등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삼성전자 서비스센터 직원이 배터리 폭발 가능성을 진단하는 컴퓨터프로그램에 고객의 갤럭시노트7 제품을 연결해 전압이상 등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 갤럭시노트7 배터리 폭발 사고 이후 삼성 브랜드 인식 변화


답변 응답 비율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39%
신뢰도 높아졌다 37%
신뢰도 낮아졌다 13%
신뢰도 크게 낮아졌다 11%
출처: 안드로이드폴리스

갤럭시S7 배터리의 폭발사고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여전히 삼성전자 제품에 신뢰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 발생 1주일 만인 지난 2일 삼성 측이 전량 리콜을 결정하며 발빠르게 수습에 나섰고 경쟁작인 애플 ‘아이폰7’이 지난 7일(현지시간) 발표이후 기대에 미치지 못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미국 정보기술(IT) 전문 매체인 안드로이드폴리스에 따르면 지난 4일부터 네티즌 1만1,62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7%가 “삼성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에 신뢰도가 더 높아졌다”고 밝혔다. “신뢰도가 하락했다”는 응답은 24%에 그쳤다. 나머지 39%는 “삼성 브랜드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답했다. 미국 IT매체 GSM아레나가 지난주 7,465명의 네티즌을 상대로 실시했을 때는 63%가 갤노트7의 신제품 교환을, 37%가 아이폰7플러스 등 다른 제품 구매를 선택한 것보다 신뢰도가 호전된 것이다.

관련기사



최근 미국 연방항공청(FAA)과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 등이 갤노트7 사용 중지를 권고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내린 것을 감안하면 시장 분위기가 크게 악화되지는 않았다는 해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쓰는 고객들에게는 삼성제품에 대한 로열티가 높다는 의미 아니겠느냐”며 “안드로이드와 iOS 이용자 간 성향이 확연히 다르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이용자가 iOS 제품으로 갈아타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삼성전자가 자발적 리콜 단계를 넘어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와 갤노트7의 공식 리콜 절차를 진행하는 점도 소비자의 신뢰회복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팀 박스터(Tim Baxter) 삼성전자 미국 지사장은 “고객의 안전과 만족이 최우선”이라며 “CPSC의 공식 절차를 준수하는 갤럭시노트7 교환 프로그램을 곧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CPSC의 관계자는 “CPSC와 삼성전자는 공식 리콜 절차를 가능한 빠르게 발표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9일부터 리콜이 시작되는 국내에서도 환불 고객이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환불을 하더라도 대안이 부족한 건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당수 고객이 교환을 기다리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국내에는 갤럭시노트7 43만대가 풀려있다. 삼성전자가 국내 갤노트7 이용자들에게 즉각 사용을 중단하고 대여폰을 받아 쓰라고 권고했지만, 실제 대여폰 수령자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갤노트7 사태로 정보통신기술(ICT)의 수출 부진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ICT 수출입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 8월까지 ICT 수출액은 11개월째 뒷걸음질쳤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2.1% 줄어든 141억3,000만달러(약 15조7,000억원)로 올 들어 가장 작은 감소폭을 기록했지만, 휴대전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감소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권용민·김창영기자 kcy@sedaily.com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