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주 강진]벽에 금가고 TV 추락...전국이 패닉 "北서 核 손 줄 알았다"

경주서 TV 떨어져 할머니 부상

부산선 초고층 건물 '흔들흔들'

놀란 주민들 소리 지르며 대피

서울, 호남서도 지진신고 잇따라

"폭염경보는 지겹도록 보내더니"

재난경보 없는 정부 비판 목소리



경북 경주에서 진도 5.1의 강진이 발생한 데 이어 경북에서 진도 5.8의 추가 지진이 발생하면서 전국이 공황에 빠졌다. 지진 발원지는 경북 일대지만 서울과 호남 등 전국에서 “지진을 느꼈다”는 경험담이 쏟아지고 있다.

경북 일대에서는 지진 직후 휴대폰이 불통되고 장식장 물건이 떨어지는 등 신고 수백건이 쏟아졌다. 건물이 크게 흔들리자 불안을 느낀 주민들은 소리를 지르며 건물 밖으로 대피했다. 경주에서 거주하고 있는 이상협(59)씨는 “북한이 핵미사일을 쏜 줄 알았다”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서명순(49)씨는 “집안에 있는 시계와 액자 같은 것들이 다 떨어져서 난장판”이라며 “오늘 밤에는 집에 들어가지 못할 것 같다”고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특히 경주시 건천읍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한 할머니는 TV가 떨어져 가슴을 다쳤다.


경남 창원시에서도 지진으로 난리를 겪었다. 창원시 명곡동에 사는 주부 박모(55)씨는 “저녁을 먹고 쉬고 있는데 갑자기 집이 흔들리면서 ‘우르렁 쿵’하는 소리에 큰 트럭이 지나가다 사고가 난 줄 알고 나가봤다”며 “사람들이 모여 지진이라 하길래 당황했다”고 말했다.

경남 양산에 머물고 있는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처음 지진과 함께 제가 살면서 체감한 지진 중 가장 강력한 지진”이라며 “강한 지진이 계속돼서 집 밖으로 피해야 하나 어째야 하나 겁이 난다”고 밝혔다. 대피한 전국 각지의 주민들은 추가 여진이 있을지 모른다며 집 밖에서 계속 기다리며 불안에 떨었다.

울산 중구의 한 아파트 주민은 “아이 책상 위 책상에서 책이 떨어지고 식탁 조명등이 크게 흔들거렸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박평재 중기중앙회 부산울산지역본부 회장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두 번 진동을 느꼈는데 두 번째 지진의 진동이 더 길었다”며 “부산 녹산산업단지 쪽의 피해는 아직 없다. 경주보다는 크지 않은 듯하다”고 말했다.


부산에서도 초고층 건물들이 흔들리고 집 벽에 금이 갔다는 신고가 속출하는 등 ‘멘붕’이 벌어졌다.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일부 학교에서는 야간자율학습을 긴급 중단하기도 했다. 겁에 질린 어린아이들의 울음소리가 곳곳에서 들려왔다.

관련기사



이번 지진 신고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일어났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서도 8시 33분께 “지진이 느껴졌다”는 목격담이 이어졌다. 경기 광명에 거주한다는 한 트위터 이용자는 “옷걸이에 걸린 옷들이 흔들리는 게 눈으로 보일 정도…. 심지어 꽤 긴 시간 동안”이라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통신 장애 현상까지 발생하면서 불안감이 더욱 증폭됐다.

일부 지역에서는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통신사가 먹통이라는 제보도 잇따르고 있다. 카카오톡 이용마저 어려워지면서 트위터와 라인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전화가 안 된다” “가족과 통화를 하려는데 연결이 안 돼 불안하다”는 글이 올라왔다.

동시에 지진을 대비하는 법을 공유하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한 네티즌은 “일본 지진 경보가 더 확실하다”며 “일본의 지진 알림 앱을 다운 받으라”고 조언했다.

정부 대처를 지적하는 비판도 속출했다.

한 트위터 이용자는 “폭염주의보는 지겹도록 오더니 정작 지진 나니까 재난경보가 안 온다”고 지적했다. 국민안전처 홈페이지는 지진 발생 후 네티즌들의 접속이 몰리면서 홈페이지가 다운됐다. 국민안전처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점검 작업으로 인하여 현재 웹서비스가 중단되고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는 문구만 떠 있었다. /부산=조원진기자 울산=장지승기자 창원=황상욱기자 이수민·진동영·강광우기자 jin@sedaily.com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