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진 대피 요령, 식탁 밑으로 피하라? 잘못된 상식 ‘밖으로 나가거나 욕실로 피하기’

지진 대피 요령, 식탁 밑으로 피하라? 잘못된 상식 ‘밖으로 나가거나 욕실로 피하기’지진 대피 요령, 식탁 밑으로 피하라? 잘못된 상식 ‘밖으로 나가거나 욕실로 피하기’




지진이 나면 식탁으로 피하라는 지진 대피 요령이 있다. 하지만 이는 일본에서나 통하는 것.


흔히들 지진이 나면 식탁이나 책상 밑으로 피해야 한다고 알고 있지만 이는 제대로 된 대피 방법이 아니다.

지진 대피 요령을 검색하면 ‘지진 발생 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이므로 이 시간동안 테이블 등의 밑으로 들어가 몸을 피하고 테이블 등이 없을 때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한다’는 대피 요령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목조건물이 많은 일본에서나 가능한 지진 대피 요령으로 알려졌다. 한국에서는 목조건물보다 콘크리트건물이 많기 때문에 해당되기 어렵고, 식탁이나 책상 밑으로 들어가면 더 큰 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한국에서는 지진으로 건물이 크게 흔들릴 때 식탁이나 책상 밑으로 피하는 것 보다 계단을 이용해 무조건 밖으로 대피해야 한다. 이때 정전이 될 수 있으니 엘리베이터는 사용 하지 않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밖으로 나가지 못할 경우 욕실과 화장실로 피하는 것이 좋으며, 탈출을 위해 현관문은 열어두는 것이 좋다.

한편 지난 12일 오후 7시 44분 쯤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9km 지역에서 규모 5.1 지진이 일어났고, 이어 오후 8시 32분 남남서쪽 8㎞ 지역에서 5.8의 강한 여진이 이어졌다.

[출처= 네이버 지진 대피 요령]

김상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