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중국원양자원 유상증자 가는길에 '숨은 함정'

주총서 정관변경 통과해야 가능

부결땐 120억 차입금으로 전환

월 1억8,000만원 이자비용 발생

실패 상황 감안해 투자 유의해야



중국원양자원(900050)의 두 건의 유상증자가 성공할 수 있을지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오는 19일 열리는 임시주총 결과에 따라 유상증자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는 만큼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중국원양자원은 지난달 22일 홍콩의 ‘중윤투자집단유한공사’ 등 2곳을 대상으로 12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한 데 이어 지난 7일에도 같은 두 곳을 상대로 805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허위공시로 불성실공시법인과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중국원양자원이 상장폐지를 피하고 운영자금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중국원양자원의 주가는 유상증자 발표 직전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중국원양자원의 유상증자에는 함정이 숨어 있다. 현재 중국원양자원의 정관상 발행가능주식총수는 1억주. 이미 발행된 주식은 9,785만9,369주로 유상증자로 주식 수가 늘어나면 발행가능주식총수를 초과하는 만큼 19일 임시주총을 열고 정관을 변경해 발행가능주식총수를 1억4,000만주로 늘릴 예정이다. 문제는 정관변경이 임시주총을 통과할 수 있느냐다. 발행주식총수를 늘리지 못할 경우 회사 측은 유상증자를 철회하고 첫 번째 유상증자로 유입되는 120억원을 차입금으로 돌릴 예정이다. 증권사의 한 관계자는 “정관변경이 가결되지 않을 경우 120억원의 증자는 차입이 되고 매달 원금의 1.5%인 1억8,000만원을 이자로 지불해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중국원양자원은 지난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발행가능주식 수를 2억주로 늘리고 149억원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안이 부결된 전례가 있다.

유상증자에 함정이 도사리고 있음에도 일부 개인투자자들이 이 같은 사실을 모른 채 투자에 나서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7일 805억원의 유상증자 공시가 발표 직후 지난 8일 하루 동안 거래된 중국원양자원의 주식은 4,256만여주로 전날(992만여건)의 3배를 웃돌았다. 이날 주식을 사들인 이들은 대부분 개인투자자들로 외국인은 오히려 287만여주를 순매도하며 비중을 기존 11.28%에서 8.33%로 줄였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