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中, 한미일 대북제재 공조에 러시아와 '수위 조절' 나서나

왕이 中 외교부장 "안보리 제재는 찬성, 개별국 독자제재는 반대"

중·러 '北과 대화' 필요성 강조에…안보협력 강화 추진까지

왕이 중국 외교부장/연합뉴스왕이 중국 외교부장/연합뉴스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러시아 연방 안보회의 서기/연합뉴스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러시아 연방 안보회의 서기/연합뉴스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새로운 대북제재 마련에 공감했던 중국이 개별국가의 일방적인 제재에는 반대한다는 의사를 밝혀 국제사회의 공조에 균열이 생기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과의 대화 필요성을 강조하는 등 초고강도 대북 제재를 추진하려는 한국과 미국, 일본의 움직임에 제동을 걸고 수위 조절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중국 외교부는 14일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의 이같은 통화 내용을 발표문 형식으로 홈페이지에 올렸다. 이에 따르면 왕이 부장은 북한 핵실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거듭 표명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이사국들과 함께 필요한 조치를 원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각국이 안보리에 집중하는 상황에서 개별국가의 일방적인 제재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아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왕 부장은 또 어떤 상황에서도 대화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왕 부장은 앞서 지난 13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의 통화에서도 “한반도 핵 문제를 해결하려면 모든 관련국이 궁극적으로 협상 테이블에 복귀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중국은 물론 러시아도 북한과의 대화 추진 노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은 윤 장관과의 통화에서 “한반도 핵 문제를 정치·외교적으로 해결하는 것 외에 대안이 없다”며 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대북 제재에 키를 쥐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 핵실험에 대한 추가 제재 필요성에는 동의하지만 압박 수준은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내비친 것이다. 특히 한미일 3국이 각국의 독자 제재안 마련과 함께 대중국 섬유수출 제한과 대북 원유 공급 차단, 외화벌이를 위한 북한의 국외 노동자 고용금지 등 북한의 민생 경제에 제재를 가하는 등 전례 없는 초고강도 제재안을 추진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과 러시아 정상은 중·러 안보 협력 강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중국중앙(CC)TV는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측근인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러시아 연방 안보회의 서기와 만나 “현 정서에서 중·러 안보협력의 시급성과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양측이 기존의 협력시스템을 기초로 분야·각급별 안보 협상과 교류를 심화시켜 나가자”고 전했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