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국 시신 화장비율 80% 돌파...20년만에 4배

장례문화진흥원, 올 5월엔 81.6%까지 높아져

유골안치는 '봉안당'이 가장 많아...자연장은 16%

경기도 양평공원 납골묘경기도 양평공원 납골묘




이의 시신을 화장(火葬)하는 비율이 지난해 처음으로 80%를 넘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그러나 화장 후 유골을 안치하는 방법으로 정부가 장려하고 있는 ‘자연장’은 아직 널리 퍼지지 않고 있다.


한국장례문화진흥원은 2015년 사망자 27만5,700명 가운데 화장자 수가 22만1,886명으로, 화장률이 80.5%로 잠정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이 수치는 사망자 통계치가 확정될 때 다소간 달라질 수 있는 잠정치지만, 지난해 화장률이 80%를 넘었다는 데에는 이견이 거의 없다. 장례문화진흥원이 최근 발표한 올 5월 월간 화장률은 81.6%로 집계되고 있다.


1994년만 해도 다섯 명당 한 명꼴(20.5%)이던 화장 비율이 20여년 만에 거의 4배가 된 것이다.

관련기사



유족들은 화장한 유골을 안치하는 곳으로 ‘봉안당’을 선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례문화진흥원이 수도권의 화장시설 6곳 중 한 곳을 이용한 1,000명에게 화장 후 유골 안치 방법을 조사한 결과 봉안시설에 안치하는 경우가 73.5%로 가장 많았고, 자연장은 1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시설 내에 유골을 집단으로 뿌리는 ‘유택동산’에 유골을 안치한 경우가 5.7%, 산·강·바다에 유골을 뿌린 경우가 4.8%를 차지했다. 자연장은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잔디, 나무, 화초 등 상징물 아래에 유골함 없이 묻는 방법이다.

봉분을 세워야 하는 매장, 봉안당 건설이 필요한 봉안 등 다른 장례 방법보다 자연을 파괴하지 않는 지속 가능한 장례 방식이어서 정부가 적극 장려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장을 선택하는 비율은 전년도(3,859명 대상 설문·18%)보다 오히려 2% 포인트 줄어들었다. 복지부는 지난 1월부터 산림보호구역에도 수목장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등 자연장과 관련된 각종 규제를 개선해나가고 있다.

2015년 12월 말 기준 국내 수목장림은 총 50곳이 등록돼 있다. 이 중 개인·가족·종중·문중 수목장림은 26곳이다.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