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인가구 절반, 단독주택 거주 ‘대학생은 원룸, 노년은 시골집’

1인 가구 가운데 상당수가 단독주택에 사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연령층에 따라 실제 거주 유형에는 차이가 있다.


17일 통계청의 ‘2015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520만3000가구로 전체(1911만 1000가구)의 27.2%다.

이 가운데 52.1%인 271만1000가구는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단독주택이란 집 한 채에 가구 하나만 거주하는 일반적인 형태 외에도 한 지붕 아래 여러 가구가 살 수 있도록 설계된 ‘다가구주택’ 등도 포함한다.

관련기사



연령별로는 20세 미만 1인 가구의 단독주택 거주 비율이 71.1%로 최고다.

다른 지역 학교에 다니게 된 대학생들이 원룸형으로 꾸민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아 이같은 비율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있다.

20대와 30대는 주택 이외 거처 거주 비율이 각각 11.9%로 전체 평균인 8.1%보다 높다. 주택 이외 거처에는 오피스텔, 여관, 고시원 등이다.

70세 이상 단독주택 거주비율은 59.9%로 20세 미만 다음으로 높다. 다세대(5.9%)나 비거주용 건물내주택(1.1%), 주택 이외 거처(2.6%) 등 유형은 모두 전체 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상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