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여성 10명 중 4명은 ‘저임금 노동자’...OECD 1위

2014년 현재 37.8%가 임금 중위값의 3분의 2 미만 벌어

경력단절 여성, 이전보다 못한 일자리 잡기 때문



우리나라 여성 10명 중 4명은 저임금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최악이었다.

18일 OECD에 따르면 2014년 현재 여성 임금 근로자 중 임금 중위값의 3분의 2 미만을 받는 비중은 37.8%로 OECD 내 비교 가능한 22개국 중 가장 높았다. 여성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2000년에 45.8%로 절반에 육박했지만 이후 꾸준히 떨어져 2011년부터 30%대로 내려왔다.


하지만 아직 다른 국가와의 격차는 컸다. 2위인 아일랜드(31.0%)보다 6.8%포인트나 높았다. 미국은 29.54%, 영국 26.99%, 독일 25.94%, 일본 25.52%로 대부분 20%대였다.

관련기사



여성 저임금 근로자 비율이 높아 남녀를 합친 한국의 전체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23.7%로 나타났다. 아일랜드(25.1%), 미국(24.93%)에 이어 OECD 국가 중 세 번째로 높았다. 다만 남성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15.4%로 중위권인 11위였다. 미국(21.27%), 영국(16.03%)이 한국보다 높았고 독일(14.3%)과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여성들이 임시·일용직, 단순노무직 등 불안정하고 질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사례가 많다는 의미다. 결혼과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이 이전보다 못한 일자리를 얻는 경우가 많은 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여성의 취업률을 보면 결혼 전인 20대에는 올라갔다가 결혼과 출산, 양육이 시작되는 30대에 가라앉고 40대에 다시 일터를 찾아 상승하는 ‘M’자형 곡선이 나타나고 있다. 40대에 재취업한 여성은 단순노무직 등에만 종사해 전체 여성 중 저임금 노동자 비율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