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주형환 장관, 국내 원전 핵심설비 내진 규모 6.5→7.0 보강

전 원전 대상 스트레스테스트 실시

방폐장·가스시설도 내진성능 강화

주형환(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국가스공사 대치동 정압기지를 방문해 시설 안전을 점검하고 있다./사진=산업부주형환(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국가스공사 대치동 정압기지를 방문해 시설 안전을 점검하고 있다./사진=산업부


국내 가동되는 원자력발전소 핵심설비의 내진 규모가 6.5에서 7.0 수준으로 보강된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8일 서울 여의도 한국전력 남서울지역본부에서 ‘지진 후속조치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주 장관은 “이번 지진을 계기로 우리나라가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전제로 에너지와 주요 산업시설의 지진 방재 대책을 전면 검토할 필요가 있다”면서 “에너지시설 전반에 대해 관련 분야 전문가 등과 내진성능보강, 성능개선 투자 방안 등을 검토해 ‘에너지시설 내진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는 정만기 1차관 등을 비롯해 한전, 한국수력원자력, 한국가스공사, 전력거래소,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의 기관장들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지진 후속 조치에 따라 국내 가동되는 원전 주요 설비에 대한 내진 성능(규모 6.5)을 7.0에도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기로 했다. 현재 월성 1호기와 고리 1호기, 한빛 1~6호기 등 8기는 내진보강 작업을 완료했고 나머지 원전들도 2018년 4월까지 보강할 방침이다. 내진 보강 설비은 원자로반응도제어, 원자로 냉각재압력·제고량제어, 잔열제거 등이다. 또 전 원전을 대상으로 내년 말까지 스트레스테스트를 실시하고 이번 지진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한 월성·고리 원자력본부는 내년 말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원전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폐장도 전원공급설비와 배수관로 등에 대한 내진 설계를 강화한다. 현재 4개인 지진가속계를 표층처분시설에 1개 더 설치해 지진감시 역량을 높이기로 했다.

가스시설은 가스안전공사가 전국 3만8,3305개소, 가스배관 3만1,703km를 점검한 결과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앞으로는 5.0~5.9로 설계된 내진 설계 시설의 성능을 보강할 예정이다. 가스공사도 지진가속도계측기를 전국 141개소에서 내년 147개소로 확대하기로 했다. 울산 석유화학단지 내 위험물 저장소와 유해화학물질취급시설 978개소에 대한 안전진단도 이달 21일까지 실시할 방침이다.

주 장관은 “지난 12일 지진발생 이후 총 350여 회의 여진이 지속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원전 안전 운영과 전력수급대책에 대해 만전을 기해달라”면서 “원전 등 주요 시설이 IT기술로 운영되기 때문에 각 기관장은 사이버보안에도 각별히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전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