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제약협회 "바이오제약 성장 위해 싱가포르 벤치마크 해야"

한국 바이오제약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싱가포르 성공 사례를 면밀히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주현 전국경제인연합회 책임연구원은 19일 한국제약협회 9월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는 바이오제약 산업 후발주자로 선진국을 앞서기 위해서는 산업 기반 없이 정부 주도로 성장한 싱가포르를 벤치마킹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싱가포르는 지난 2000년부터 바이오 산업 특화 클러스터인 ‘바이오폴리스(Biopolis)’를 중심으로 기초·중계·임상연구 등에 15년간 총 270억 달러를 투자했다”며 “현재 클러스터에는 30개의 글로벌 제약사 본사, 50개의 R&D센터, 50개의 생산설비가 입주해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바이오폴리스에서의 생산액 또한 6배로 증가해 지난 2001년 부터 12년 동안 약 25조 원으로 늘었으며 고용인력 또한 약 2만 명으로 같은 기간 3배 늘어 명실상부한 싱가포르 대표 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고 말했다.


세제 혜택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글로벌 제약사에는 국내 투자를 조건으로 싱가포르와 같은 5∼15% 가량의 법인세 감면 혜택이 필요하다”며 “바이오벤처와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벤처캐피탈, 펀드 등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투자가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실제 대부분 바이오 벤처 업체들은 자금 조달 어려움으로 연구개발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연구원은 “투자액의 80% 이상을 초기 단계 기업에 투자하는 엔젤펀드 또한 지난 2000년 5,000억 원 규모에서 2011년 300억 원으로 대폭 축소돼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미국은 5년 이내 벤처에만 투자하는 특수목적펀드(SBIC)를 31억 달러 규모로 조성하여 이러한 초기 자금조달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