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전통시장 50%가 소화기 無...화재 위험↑

국내 전통시장의 절반 이상이 소화기가 아예 없거나 불량품이 설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유기준 새누리당 의원이 중소기업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전통시장 내 소화기 설치 대상은 9만 1,488곳이지만 이 중 실제로 설치된 곳은 48.9%인 4만 4,738곳인 것으로 집계됐다. 그나마 설치된 곳 중 5,484곳은 작동이 되지 않는 불량품인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기사



전통시장 내 자동확산소화장치의 설치율도 전체 설치대상 9,357곳 중 20%에 불과한 1,876곳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지난해 3,000만원을 들여 1,500대를 설치하는데 그쳤다.

전통시장 내 상인 대부분이 규모가 영세해 화재보험 가입률도 21.6%로 낮다. 특히 지난 2002년부터 15년간 5,834억원의 국비를 들여 설치한 전통시장 내 아케이트 시설은 아예 보험 가입 대상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유 의원은 “전통시장은 대부분 노후화된 건물로 불길이 빠르게 확대될 우려가 높고 미로식 통로 구조가 많아 대피가 어렵다”라며 “초기 진화를 위한 장비 구입에 영세 상인들이 선뜻 나서지 못하고 정부 지원도 전무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