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기업

한수원, "원전 암반위에 지어 日보다 안전성 우수”

"동해안에 밀집한 것은 입지여건 때문”

정부, 내진성능 보강작업 2018년 4월까지 마무리

‘지진 안전지대’라고 여겨진 우리나라에서 규모 5.8의 역대 최고 강진이 발생한데 이어 일주일 뒤인 19일에는 규모 4.5의 여진마저 발생,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북 동해안과 부산 기장 일대에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원전이 밀집해 ‘작은’ 원전 사고라도 대형 참사를 일으킬 수 있는 탓이다.

원전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한국수력원자력은 20일 국내 원전이 규모 6.5~7.0에서도 견딜 수 있어서 최대 5.8 규모인 이번 지진에 별 이상이 없다고 밝혔다.


또 국내 원전의 내진설계 기준치도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 원전의 내진설계값은 0.2g(규모 약 6.5에 해당)이며 현재 건설 중인 신고리 3, 4호기부터는 0.3g(규모 약 7.0) 수준으로 강화된다.

내진설계 값 단위인 최대지반가속도(g)는 실제 지진의 힘을 표현한다. 진앙에서 발생한 규모가 아니라 원전부지에서 감지되는 지진력을 의미한다. 국내에서는 지진동값이 0.1g 이상이면 원자로를 수동으로 정지해야 하고 0.2g 이상이면 자동으로 정지된다. 한수원은 이번 경주 지진 때 정지기준인 0.1g를 초과한 월성 1~4호기를 수동 정지한 바 있다.

한수원은 일본 후쿠시마와 같은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우리나라 원전이 더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는 대부분 가압경수로(PWR) 방식인데 일본 원전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비등경수로(BWR)방식보다 기술적으로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한수원은 “일본 원전은 원자로 내의 냉각수를 직접 끓여 발생한 수증기로 터빈을 운전하지만 우리는 이를 분리했기 때문에 외부로 방사성 물질 누출 가능성이 적다”며 “만약 노심이 녹아 수소가 발생하더라도 우리 원전은 일본 비등경수로 방식과 달리 전기 없이 동작하는 수소재결합기가 있어 수소폭발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는 일반 토사지반이 아닌 암반 위에 지어진다는 점도 꼽았다. 한수원은 “원자로 격납건물은 단단한 암반을 굴착해 조밀하게 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해 짓는다”며 “단단한 암반층에 지은 원자력발전소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토사지반에 건설된 건물보다 30~50%정도 진동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격납건물 등 주요 건물과 기기에 지진계측기 등 첨단 감시체계를 갖추고 지진을 감시하고 있다고 한수원은 강조했다.

경주∼양산∼부산에 이르는 양산단층대에 원전 시설이 집중된 점에 대해서는 동해의 입지여건이 서해나 남해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수원은 “남해는 태풍의 영향을 자주 받으며 서해는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고 수온이 높아 원전부지 후보로 불리한 면이 있다”며 “또 울산 등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중공업 단지 인근에 발전소를 지어야 송배전 설비 관련 비용을 줄이는 등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한편 원전 24개의 내진성능을 현재 규모 6.5에서 7.0까지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는 작업을 2018년 4월까지 마무리 짓기로 했다. 규모 5.8의 강진이 발생한 경주 인근 월성·고리 본부 원전에 대해 내년 말까지 ‘스트레스 테스트’(잠재적 취약성을 측정해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를 시행해 안전성을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현재 경북 동해안에는 경주 월성원전 6기, 울진 한울원전 6기 등이 자리 잡고 있다. 기장의 고리원전은 세계 최대원전단지로 꼽힌다. 현재 운영 중인 6개의 원전(고리 1~4, 신고리 1·2호기)에 시운전 중인 신고리 3·4호기와 정부가 건설을 승인한 신고리 5·6까지 합하면 10기나 된다.

/세종=이철균기자 fusioncj@sedaily.com

이철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