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시리아 내전 다시 격화 조짐

반군 점령지 북부 알레포 등에

정부군 소속 추정 전투기 공습

미국과 러시아 간 휴전 합의로 일주일간 멈췄던 시리아 내전이 다시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임시휴전 기간이 끝나자마자 반군 점령지인 북부 알레포와 인근 지역에서 러시아 또는 시리아 정부군 소속으로 추측되는 전투기의 대대적인 공습이 벌어졌다. 공습과정에서 유엔 등의 구호물품 호송대도 무차별적 피해를 당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제사회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들은 19일(현지시간) 시리아 정부군이 임시휴전 종료를 선언한 직후 시리아 또는 러시아 전투기가 알레포와 인근 지역에 35차례에 걸친 대규모 공습을 가해 이날 자정 현재까지 34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특히 이날 공습으로 유엔과 시리아아랍적신월(SARC)의 구호물품 호송 차량 31대 가운데 최소 18대와 창고도 공격을 받아 활동가를 비롯한 20명이 사망했다고 국제적십자위원회(ICRC)가 밝혔다. 호송대는 알레포 외곽 마을에 고립된 주민 7만8,000명에게 전해질 의약품과 식량 등 인도주의적 구호품을 호송하고 있었다. NYT에 따르면 2011년 시리아 내전이 발발한 뒤 구호품 호송대가 공습을 받기는 처음이다.


스테판 미스투라 유엔 시리아 특사는 “구호품 호송은 고립된 민간인들을 돕기 위해 오랜 준비 및 허가 절차를 거쳐 이뤄진 것”이라며 “이번 공격에 대해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러시아·시리아 국방부는 폭격 사실을 부인했다.

관련기사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미국이 러시아와 도출한 임시휴전 합의와 관련해 시리아군이 종료 선언을 했다는 사실에 반발하며 “러시아는 인도주의적 호송대까지 무차별적으로 폭격하는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을 통제해야 한다”고 비난했다. 휴전 합의 당사국인 러시아는 아직 휴전협정 지속 여부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케리 장관은 “합의한 것은 러시아”라며 “러시아가 무슨 말을 할지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국과 러시아는 5년 반째 이어져온 시리아 내전에서 대립하는 반군과 정부군을 지원하며 갈등을 빚어왔다. 지난 9일 케리 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12일부터 시리아 내전 임시휴전에 합의하고 일주일간 휴전이 지속된다면 양국이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격퇴를 위한 공동작전을 벌이기로 했으나 17일 미국 주도 연합군이 정부군을 오폭한 데 이어 18일 알레포에서 공습이 행해지면서 시리아 정부군과 반군은 서로 상대가 휴전 합의를 깼다고 주장하고 있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