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미일, 암 종식 공동연구 본격화

3국 보건장관회의서 합의

한미일 세 나라가 암 종식을 목표로 국제공조에 본격 나선다.

세 나라는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 주재로 3국 보건장관회의를 열어 암 연구지원 강화, 암 예방·검진·진단방법 확대, 국가 간 데이터 표준화·공유 방안 등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는 최첨단 의생명연구센터 간 통합적·다학제적인 국제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암 단백질유전체학(proteogenomics) 관련 데이터와 연구·분석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합의했다. 또 암 발생의 다양성 규명과 암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을 위해 단백질유전체학을 활용하고 관련 데이터 분석시 공통의 알고리즘(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단백질유전체학(proteogenomics)은 유전자의 명령으로 만들어진 프로테옴(proteom·단백질체)과 유전체학(genomics)의 합성어로 유전자의 기능, 단백질의 기능이상 및 구조변형 유무 등을 규명하고 질병 과정을 추적하는 분석기술을 말한다.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3국 간 공동연구, 데이터 공유, 인적교류 강화를 위한 실무자회의를 제안했고 바이든 부통령은 “강력하게 동의한다”고 화답했다. 이에 따라 3국 국립보건연구원(일본은 의료연구원)과 국립암센터(미국은 국립암연구원) 등 관련기관 원장들은 암 연구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3월말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삼자협력에 합의한데 따른 후속 조치다. 미국은 지난 1월 오바마 대통령이 ‘암정복 계획(National Cancer Moonshot Initiative)’을 발표하고 연구개발 등에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진행하고 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