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태조실록' 영역 최병현 소장 등 6명 대한민국학술원상

오늘 오후 2시 시상식

최병현(왼쪽부터) 한국고전세계화연구소장, 박삼옥 서울대 명예교수, 안순일 연세대 교수, 강봉균 서울대 교수, 이종무 인하대 교수, 이용환 서울대 교수.최병현(왼쪽부터) 한국고전세계화연구소장, 박삼옥 서울대 명예교수, 안순일 연세대 교수, 강봉균 서울대 교수, 이종무 인하대 교수, 이용환 서울대 교수.


한국 고전의 영문 번역에 앞장선 최병현(66) 한국고전세계화연구소장 등 6명이 올해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대한민국학술원은 제61회 학술원상 수상자로 최 소장과 박삼옥(70) 서울대 명예교수, 안순일(50) 연세대 교수, 강봉균(55) 서울대 교수, 이종무(66) 인하대 교수, 이용환(55) 서울대 교수 등 6명을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학술원상은 학문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업적을 세운 학자에게 주는 최고 권위의 학술상으로 지난 1955년 제1회 시상 이래 올해까지 총 240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최 소장은 유성룡의 ‘징비록’, 정약용의 ‘목민심서’, 조선왕조실록 중 첫 번째인 ‘태조실록’ 등 한국학 관련 주요 원전을 영문으로 번역해 한국학의 세계화에 기여했다. ‘목민심서’와 ‘태조실록’은 각각 수백 권에 달하는 방대한 기록물로 최 소장은 서문과 수많은 각주를 통해 단순 직역이 아닌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학술적 창의력을 보여줬다고 학술원은 평가했다.

관련기사



박 교수는 세계적인 경제지리학자로 30여년간 경제지리학과 지역과학 분야에서 축적한 연구를 종합해 2015년 영문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안 교수는 지구 온난화와 엘니뇨에 관한 연구 성과를 90여편의 SCI(E)급 논문으로 펴내고 100여차례 국제학술회의에서 발표하는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신경생물학 전공인 강 교수는 기억의 생물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퇴행성 뇌 질환 및 정신 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종무 교수는 나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실용 범위가 매우 넓은 발광소자를 개발했으며 이용환 교수는 벼 도열병균 연구로 침입구조인 부착기 형성에 cAMP가 관여하는 신호전달 체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

시상식은 21일 오후2시 학술원 대회의실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학술원 회원, 수상자 및 가족 1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