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해외파견 北노동자 올해만 40여명 사망...과도한 상납까지

해외에 파견된 북한 근로자들 가운데 산업재해와 자살, 질병 등으로 올해만 최소 40명이 사망하고, 각종 상납금 인상과 간부들의 착취가 횡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해외에 파견된 북한 근로자들 가운데 산업재해와 자살, 질병 등으로 올해만 최소 40명이 사망하고, 각종 상납금 인상과 간부들의 착취가 횡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북한이 외화벌이를 위해 대규모로 해외에 파견한 근로자들 가운데 작업장 내 안전장치 미비로 인한 사고(산업재해)와 자살, 질병 등으로 올해만 최소 4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북한 당국은 김일성·김정일 기금 등 각종 명목으로 해외 근로자들에게 상납을 강요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과도한 상납금을 채우기 위해 주재국에서 대부를 받아 송금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일 연합뉴스는 대북소식통의 말을 빌려 올해 러시아와 쿠웨이트, 중국, 카타르, 적도기니, 앙골라, 몽골 등지에서 최소 16건의 산업재해 등 각종 사고나 자살, 질병으로 적어도 40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8월 북한 대외건설지도국의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사 소속 근로자 1명이 3층 높이의 건설현장에서 추락사했으며, 올해 1월에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일하던 북한 근로자 1명이 근무환경 등 생활고를 비난해 숙소 옥상에서 몸에 불을 붙이고 투신자살했다. 올해 3월 앙골라 수도 루안다에서는 북한 근로자 20여명이 황열병에 걸려 사망했다. 이들은 황열병 예방주사를 맞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과거 김일성·김정일 시대 해외 근로자들 사이에서 자발적으로 진행된 모금과는 달리, 올해 2분기부터는 해외 근로자 1인당 분기별로 30달러씩 징수하기로 방침을 바꾸는 등 상납금 인상과 간부들의 착취가 횡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북한의 모 기관 러시아 지사는 본부의 상납금 독촉이 심해지자 현지에서 대부금을 받아서 송금했으며, 중국내 북한 지사원들은 1인당 상납금이 기존 매월 100달러에서 300달러로 인상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주중 북한 영사부는 베이징을 경유해 해외로 파견되는 근로자들에게 주재하게 될 국가에서 요구하지도 않는 ‘영사부 발급 공한(公翰)’을 강제로 발급해주고 1인당 100~200위안을 강제로 징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북한은 러시아·중국·쿠웨이트 등 40여개 국에 5만 8,000여 명의 근로자를 파견 중이고, 북한 당국이 이들로부터 상납받는 외화수입은 연간 5억5,000만 달러(약 6,155억원)로 추산된다.

이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