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번 돈 25% 빚 갚는데 쓰는 가계

작년 가처분소득 3,924만원중

원리금 상환액 1,000만원 육박

60대이상 고령층이 부담 가장 커



급증하는 부채 탓에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평균적인 가계는 번 돈의 4분의1을 빚을 갚는 데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예산정책처가 ‘2017년 및 중기 경제전망’에서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체 가계(전국 2인 이상 가구 기준)의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비중은 24.3%를 기록했다. 지난해 가계가 연간 100만원의 가처분소득이 있다면 이 중 4분의1가량인 24만3,000원을 빚을 갚는 데 썼다는 의미다. 세부적으로 가구당 연간 가처분소득은 3,924만원을 기록했고 원리금 상환액이 952만원으로 1,000만원에 육박했다. 비중은 2010년 16.2%에서 5년 사이 8.1%포인트 급등했다. 추이를 보면 △2011년 18.3% △2012년 17.1% △2013년 19.1% △2014년 21.7% 등 높아지고 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고령층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전 연령 중 가장 빠르게 커지고 있다. 지난해 가구주가 60대 이상인 가구의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비중은 23.8%로 2010년(11.7%)에 비해 12.1%포인트 급증했다. 예정처는 “고령층이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빚을 늘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60세 이상 고령층은 지난해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7%(2014년 대비)에 그쳤지만 금융부채는 12.8%나 불어났다. 두 번째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계층은 가구주가 40대인 계층으로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비중이 25.6%를 기록했다. 5년 사이 8.6%포인트 상승했다. 다음은 30대로 25%를 나타내 7.9%포인트 올랐다. 50대는 23.6%로 5.7%포인트 상승했으며 30세 미만은 10.2%로 오히려 2.6%포인트 감소했다.


소득별로는 역시 저소득층의 빚 상환 부담이 높았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비중은 25.1%로 2010년 12%에서 13.1%포인트나 급증했다. 모든 소득 계층 중 가장 빠른 증가세다. 소득 2분위는 27.9%로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이 전 소득계층 중 가장 높았다. 이외에 소득 3분위는 24.8%, 4분위는 25.3%를 기록했고 고소득층인 5분위는 22.6%에 달했다.

관련기사



이처럼 가계의 빚 상환 부담이 늘어난 것은 저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 규모가 크게 늘어난 탓으로 풀이된다. 특히 고령층·저소득층은 경기 부진으로 소득이 좀처럼 늘지 않는 가운데 빚은 급증해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크게 불었다.

예정처는 “금융당국은 가계부채의 양적 팽창뿐만 아니라 질적 상황 점검을 통해 가계부채의 위험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고령층·저소득층의 원리금 상환 비중의 급증은 가계의 상환 부담을 증가시켜 경제 충격 시 파산가구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가계가 실제 쓸 수 있는 돈을 줄여 소비를 위축시키고 나아가 경제 전체의 유효수요를 줄어들게 해 국민소득을 하락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