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발언대] 방송사 자산관리 운용의 중요성

김진경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기획홍보국장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돈을 많이 버는 것 이상으로 자산관리 운용이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방송제작사들에게 자산관리란 저작권 관리다. 그러나 지상파 방송을 제외하면 케이블방송사·독립제작사 심지어 1인 미디어 창작자까지 자신들의 자산인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관리는 방치수준이다.


방송은 종합저작물의 집합체다. 방송작가·음악가·영상제작 등 다양한 저작물들이 모여 하나의 완성된 작품이 탄생된다. 이에 따라 저작권도 방송, 전송, 복제, 배포, 공연, 이차적 저작물 등 다양한 파생 상품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생긴 자산을 어떻게 운용하고 유통하고 적정한 대가를 받아내는지는 두말할 필요 없이 중요한 일이다.

관련기사



최근 미디어 환경이 글로벌 다플랫폼 경쟁체계에 들어서고 시청행위도 다양화되면서 예전처럼 TV방영만으로는 자산 가치를 100% 활용했다고 볼 수 없다. 예를 들면 저작권을 온전히 보유한 독립제작사가 프로그램 하나를 제작해 지상파에 납품했다면 예전에는 성공적이라고 평가할 것이다. 그러나 요즘 같은 환경에서는 이를 케이블TV채널에 공급하고, 다시 이를 분 단위로 편집해 온라인에 유통시키며 또다시 이를 해외의 다양한 미디어 채널에 수출하는 등 유통확대에 나서야 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1인 미디어 창작자 또는 UCC창작자들, 그리고 광고제작자 등에게 패러디나 새로운 창작물로 재가공할 수 있도록 저작권을 확인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심지어 경쟁 채널들 간에도 이를 자료화면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저작권 권리관계를 확인시켜주는 등 자산을 확장시키기 위한 작업은 무궁무진하다.

저작권환경이 이렇게 변하고 있지만 복잡한 저작 권리관계를 확인하는 것조차 어려운 것은 물론 지급체계마저도 구축돼 있지 않다. 몇 년 전부터 클라우드 환경으로 모든 저작권을 관리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지속 제기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다행히 이를 위한 작업이 사업자들 사이에서 자생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정부와 산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저작권 생태계 환경구축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김진경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기획홍보국장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