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도심서 대규모 농민·노동자 집회 이어져

전농·공공노련, 집회 후 행진, 일부 도로서 정체

전국농민회총연맹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농산물 최저가격 인상과 쌀 수입 금지, 백남기 농민 문제 해결 등을 요구하는 집회를 진행한 후 행진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전국농민회총연맹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농산물 최저가격 인상과 쌀 수입 금지, 백남기 농민 문제 해결 등을 요구하는 집회를 진행한 후 행진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쌀 수입과 공공기관 성과연봉제에 반대하는 농민들과 노동자들의 대규모 집회가 서울 도심에서 이어졌다.

전국농민회총연맹(이하 전농)은 22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쌀값 대폭락 박근혜 정권 퇴진 전국농민대회’를 열어 “정부의 밥쌀 수입 등의 정책이 쌀값 폭락을 가져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농은 이날 집회에서 백남기 농민이 경찰 물대포에 맞아 중태에 빠진 것에 대해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며 비판했다.

관련기사



또 대기업인 LG가 농업분야 진출한 것에 대해서도 반대 의사를 분명하게 밝혔다. 김영오 전농 의장은 “오늘 농민대회를 통해 억울하고 참담한 마음을 폭발시키고 오는 11월12일 전국농민대회까지 투쟁의 불길을 지피자”고 말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오후 3시50분 대학로를 출발해 서울 중구 한국관광공사 앞까지 행진했다. 이번 집회에는 주최 측과 경찰 추산 4,000명이 모였으며 김 의장 등 임원·회원 등 40여명은 삭발식을 진행했다.

오후 1시에는 한국노총 전국공공사업노동조합연맹(이하 공공노련)이 서울역 광장에서 ‘공공노동자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진행했다.

주최 측 추산 5,000명(경찰 추산 2,000명)이 참가한 가운데 공공노련은 “공공기관 성과연봉제와 강제퇴출제를 전 조합원의 총력투쟁으로 저지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공공노련은 또 “공공성과 생존권 사수를 위해 해고연봉제·강제퇴출제 지침이 폐기될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며 “공공기관 비정규직·외주용역 직원의 정규직화, 올바른 공공기관 개혁을 해야 한다”고 정부에 요구했다. 김주영 공공노련 위원장은 “지난 3년 반 동안 개혁이란 이름으로 공공부문에 자행된 폭력과 기만적 술수 앞에 공공노동자의 삶은 벼랑 끝에 섰다”고 말했다. 한 시간가량 집회를 진행한 공공노련은 숭례문과 한국은행, 을지로를 거쳐 서울 중구 한빛광장까지 행진을 진행했다. 한편 이들이 행진하는 동안 남대문로 등 서울 중구 일대의 주요 도로에서 정체가 빚어졌다.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