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상청, 12일 한반도 최대 지진 진앙지 잘못 파악

유용규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이 22일 오전 서울 기상청에서 경주 지진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유용규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이 22일 오전 서울 기상청에서 경주 지진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상청이 지난 12일 경북 경주에서 일어난 한반도 최대 지진의 진앙 위치를 당초 잘못 분석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기상청은 22일 경주 지진에 대한 중간상황 정책브리핑에서 “지진 정밀 분석 결과, 지난 12일 5.8 규모 본진은 5.1 규모의 전진이 일어난 곳보다 남쪽으로 수백미터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고 말했다. 이는 당초 기상청이 12일에 본진이 전진보다 북쪽에서 일어났다고 발표한 것과는 배치되는 내용이다.

유용규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은 “P파와 S파가 도달한 시각 등을 정밀 분석한 결과, 진앙의 위치가 처음과 다르게 나왔다”며 “수 분 내에 결과를 발표해야 해 시급을 다투다 보니 초기 분석에 잘못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기상청은 첫 5.8 지진이 발생한 뒤 일주일이 지난 19일 밤 규모 4.5의 여진 발생 당시에도 오류를 바로잡지 않았고, 기상청 홈페이지에도 현재까지 잘못된 정보가 기록돼 있다.


당시 같은 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는 1차 지진원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진이 전진보다 남쪽에서 발생했다”고 기상청과는 다른 분석을 내놓았다. 지진센터는 이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여진이 점차 남하하는 추세를 보인다고 주장했다. 기상청은 이날 뒤늦게 수정한 정밀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경주 지진이 남남서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말을 바꿨다.

관련기사



앞서 두 기관은 지진 규모 측정값에서도 이견을 보였다. 지질연 지진센터는 지난 12일 1차 지진의 규모를 5.2, 지난 19일 여진은 4.6으로 분석했지만 기상청은 각각 5.1, 4.5로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지질연 측은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유의미한 데이터를 선별해 추출해내고 분석 장비 등이 다르기 때문에 원자료가 같아도 해석은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상청과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측정 수치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협업하고 있다”면서 “공식 발표는 기상청이 담당하도록 해 혼선을 줄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