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7월 혼인 출산 역대 최소, 사망자 수는 고공행진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인구동향’을 보면 올해 1∼7월 혼인 건수는 16만5천100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8.0% 줄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0년 이래 최저치로 알려졌다.

7월만 보면 혼인 건수가 총 2만1천200건으로 1년 전보다 10.2% 하락했다. 이는 2004년 7월(2만731건) 이후 역대 2번째로 낮은 수준.

결혼 자체가 줄다 보니 이혼 건수도 줄었다. 올 1∼7월 이혼 건수는 6만700건으로 3.5% 감소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7월 한달간 이혼은 8천700건으로 1년 전보다 8.4% 감소하며 사상 가장 낮은 수준으로 확인됐다.


혼인 감소는 출산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올 1∼7월 출생아 수는 24만9천200명으로, 5.9% 감소했다. 역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7월 한달 출생아 수는 3만3천900명으로 1년 전보다 7.4% 줄며 동월기준 역대 최저 행진을 보였다.

관련기사



반면 사망자 수는 고공행진을 기록했다. 바로 고령화 때문. 올 7월 사망자는 총 2만2천100명으로 작년보다 2.8% 늘며 같은달 기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1∼7월 누계로는 16만4천100명으로, 0.1% 늘었다.

하지만 아직 출생아수가 사망자수보다 훨씬 많아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는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은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로 인해 혼인과 출산은 줄어드는 반면, 65세 이상 고령자를 중심으로 사망자는 크게 늘고 있다”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