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자식이 본인 부양해야” 70%→35% 10년 새 반토막

[통계청, 2016 고령자 통계]

65세 이상 설문조사 “가족이 부양해야” 응답 06년 67%→14년 34%

반면 “부모 스스로 해결” 14%→24%, “가족·정부·사회” 15%→36%

고령자 절반 이상 노후 준비 안해

65세 이상 인구, 전체의 13.2%...고령사회 진입 초읽기



고령자의 본인 부양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전에는 자녀 등 가족이 본인을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지만 10년 새 반토막났다. 반면 본인 스스로 해결하거나 가족과 정부, 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늘었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고령자의 부양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65세 이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과거 결과와 비교한 결과, 약 10년 전인 2006년에는 고령자의 67.3%가 “부모 부양은 가족이 해야 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2014년에이 같은 응답은 34.1%로 거의 반토막 났다. 세부적으로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 중에서는 장남이 해야 한다는 응답이 대폭 감소했다. 2006년 40.2%가 장남(맏 며느리)이 부양해야 한다고 답했지만 2014년 14.2%로 급감했다. 대신 모든 자녀가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은 29%에서 62.4%로 수직 상승했다. 자식 중 능력있는 자가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은 18.9%에서 17.8%로 큰 차이가 없었다.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이 줄어든 반면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이 늘었다. 2006년 13.7%에서 2014년 23.8%로 약 10%포인트 높아졌다. 가족과 정부, 사회가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14.9%에서 35.7%로 뛰었다.


고령자들이 점점 가족에 기대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지만 정작 고령자의 절반 이상은 노후 준비를 하지 않고 있었다. 노후준비를 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2005년 65.3%에서 지난해 53.1%로 줄긴 했지만 여전히 과반을 넘었다. 노후 준비 방법으로는 예금·적금이 28.9%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28.7%), 부동산 운용(15.1%) 순이었다.

관련기사



장례 방법으로는 묘지에 매장하는 것보다 화장을 선호했다. 매장을 선호하는 비율이 2011년 39%에서 지난해 29%로 줄었다. 반면 화장 후 납골당 등에 봉안을 선호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31.7%에서 37.3%로 올랐고 화장 후 자연장도 25%에서 31.2%로 상승했다.

노년층 인구가 늘어나며 한국은 ‘고령사회’ 진입 초읽기 들어갔다. 고령사회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14% 이상인 것이다. 지난해 현재 65세 이상 인구는 657만명으로 전체인구의 13.2%를 차지했다. 비율은 2005년까지만 해도 9.3%였지만 빠르게 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내년에 한국이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고령층이 늘며 15~64세 생산가능인구의 부양부담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5.5명이 65세 이상 인구 1명을 부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7.7명에서 하락했다. 이 밖에 55~79세 인구 중 61% “장래에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이유는 생활비(58%)가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34.9%)이 뒤를 이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