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철도노조 파업 사흘째] 화물열차 운행률 30% 그쳐··시멘트업계 직격탄

화물열차 긴급투입도 역부족

파업 장기화땐 감산 불가피

서울지하철 파업은 종료



서울시 지하철 파업이 노사 간 합의로 3일 만에 공식 종료됐지만 철도 파업은 계속되고 있어 화물차 운행 등 물류수송이 곳곳에서 차질을 빚고 있다. 충북 제천과 강원 등 내륙에 위치한 시멘트 업체의 경우 화물운송 운행률이 평상시의 3분의1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재고가 쌓이는 등 비상이 걸렸다. 정부도 긴급대책을 통해 대체 화물열차를 추가로 투입하기로 했지만 업계 피해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게 현실이다.

29일 코레일과 시멘트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12시 기준 화물열차 운행률은 평시 246대에서 76대로 줄면서 전날과 비슷한 30.9%대를 유지하고 있다.

화물열차의 운행이 줄면서 시멘트 업계에는 비상이 걸렸다. 화물열차 운행률이 떨어지면서 각 업체에 할당된 철도 수송물량도 평시의 3분의1 수준으로 곤두박질쳤기 때문이다. 한일시멘트의 철도수송 물량은 230량에서 80량으로 줄었고 아세아시멘트는 120량에서 40량으로 80량이 감소했다. 특히 강원·단양·제천 등에 위치한 내륙지역 시멘트 업계에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그동안 시멘트 생산량의 60% 이상을 철도로 운송해왔는데 철도노조의 파업 이후 출하량이 평상시의 70%가량 감소한 탓이다.


각 업체는 시멘트 수송 대형 트레일러(BCT) 등 대체 운송수단 확보에 나섰지만 예비차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는 건설업계 성수기인 9~11월 수요에 대비해 지난 추석 연휴에 공장을 완전가동했기 때문에 재고수용 능력이 한계치가 다다른 것으로 보고 있다. 재고 물량이 넘치면 기존 생산 설비를 줄여 감산에 돌입해야 한다. 이럴 경우 아파트 신축을 비롯해 시멘트 수요가 많은 수도권 건설현장이 자재난을 겪을 수 있다. 업체의 한 관계자는 “아직 시멘트 공장에서 제품이 출하되고 있지만 피해가 계속 누적되고 있다”며 “재고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건설현장이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정부도 현 상황이 심상치 않다고 보고 있다. 이날 화물열차를 추가 투입하고 대체수송 차량에 대해 고속도로 통행료를 면제하는 내용의 비상수송대책을 추가로 내놨지만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제시해야 할 ‘플랜B’가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최정호 국토교통부 2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화물열차의 경우 평시 운행률의 30%까지 감축돼 물자 수송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며 “파업이 지속하면 현재 정상운행 중인 KTX와 수도권 전철, 부산의 출퇴근 지하철 운행이 축소될 수밖에 없고 국가 수송체계가 마비되는 등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실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긴급한 수출입 컨테이너의 수송을 위해 29일부터 30일까지 의왕 컨테이너기지(의왕ICD)∼부산신항 화물열차를 4회 추가로 투입하기로 했다. 철도화물을 대체 수송하는 긴급수송차량에 대해서는 파업 기간에 고속도로 통행료를 면제하고 군 위탁 화물차 100대를 지원하는 등의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한편 서울지하철 파업은 ‘성과연봉제’ 도입 여부를 노사 합의로 추후 결정하기로 하면서 이날 끝났다. 서울시는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 등 서울시 산하 5개 공사 노사는 성과연봉제 등 핵심 쟁점을 두고 집단교섭 4차 회의를 열어 29일 오후2시에 합의에 도달했다”며 “이날 오후6시를 기해 파업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저성과자 퇴출제 등 성과와 고용을 연계하는 제도는 하지 않기로 했다. 또 지방공기업 자율경영과 중앙정부 공공기관과의 처우 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파업은 오후6시를 기해 종료되지만 인력·열차 운행 일정 등 재조정 절차를 거쳐야 해 정상적인 지하철 운행은 30일부터 이뤄질 예정이다./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김민정기자 jeong@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