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웰스파고 유령계좌 스캔들, 美금융권 전체로 불똥?

옐런, 미하원 금융위 청문회서 "모든 대형은행 불법행위 여부 조사"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미국 4대 은행 중 하나인 웰스파고은행의 유령계좌 스캔들과 관련해 “대형은행에 유사한 불법행위가 있는지 모든 은행을 대상으로 정밀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옐런 의장은 28일(현지시간) 미 하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연준이 대형은행들의 도덕적 해이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원들의 질타에 이같이 답했다. 옐런 의장은 “연준은 웰스파고 지주회사를 감독할 뿐 개별은행의 업무를 규제할 권한이 없다”면서도 “대형은행의 법규준수 여부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불거진 대형은행들의 도덕적 해이 문제가 또다시 미 금융권을 강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웰스파고 스캔들을 성토했다. 스티븐 린치 공화당 의원은 “유령계좌 문제가 단지 웰스파고에 국한된 것이라면 그것이 오히려 더 놀라운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고 브래드 셔먼 공화당 의원은 “이번 웰스파고 사태는 (대형) 은행들을 쪼개야 할 필요성을 재차 확인시켜줬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일반은행과 투자은행을 분리하는 글래스스티걸법의 부활을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옐런 의장은 “글래스스티걸법이 살아 있었더라도 글로벌 금융위기를 막았으리라는 보장은 없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관련기사



웰스파고은행은 전날 유령계좌 스캔들의 책임을 물어 존 스텀프 최고경영자(CEO)에게 지급한 4,100만달러(약 450억6,000만원)의 성과급을 환수하고 직원들의 영업목표 설정 관행을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CEO의 성과급이 환수된 것은 처음이다. 웰스파고 직원들은 회사 측이 부과한 판매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11년부터 고객장부를 도용해 최대 200만개의 ‘유령계좌’를 개설한 것으로 드러났다. 은행은 이들 계좌의 금융거래 수수료로 수백만달러를 챙기고 고객 예금계좌의 자금 일부를 유령계좌로 이체했다. 또 목표를 달성한 직원들은 거액의 성과급을 챙겼다. 미 소비자 금융보호국(CFPB)은 웰스파고에 1억8,500만달러의 벌금을 부과했으며 은행도 스캔들에 연루된 직원 5,300여명을 자체 해고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