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여야 물밑대화 모색...국회 정상화 물꼬 트나

정진석, 3당 원내대표 회동 제안

우상호·박지원 긍정적 반응 보여

3일 개천절까지가 최대 고비될듯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30일 오전 국회 본청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30일 오전 국회 본청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로 시작된 국회 파행 사태를 이어갈 것인지, 마무리 지을 것인지를 두고 갈림길에 섰다. 국회 파행 이후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동반 하락하는 등 악화되는 여론으로 인해 각 당이 물밑에서 출구전략을 모색하고 있지만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연휴가 이어지는 10월3일 개천절까지가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30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여야 3당 원내대표가 만나 국회의장이 헌법과 국회법을 준수하고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책임 있는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원내대표 회동을 제안했다. 정세균 국회의장에 대한 호칭 역시 ‘정세균 의원’에서 ‘국회의장’으로 완화됐다.


이에 대해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와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박 원내대표는 “새누리당 대표의 단식에 대해 당황해서 비난한 것을 사과한다”며 “새누리당·더민주 원내대표와 국회 어른인 정세균 의장이 어떤 경우에도 국회의 파국만은 막는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정 새누리당·박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긴급회동을 했지만 별다른 해결책은 나오지 않았다. 박 원내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을 만나 “저만 열심히 설명했지만 소득 없이 돌아간다”며 “국감 정상화에 나서달라고 했더니 ‘당내 분위기가 그렇지 않다’고 했다”고 전했다.

새누리당 내에선 비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다음주 중 국정감사에 복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지만 정 의장 사퇴를 요구하는 강경파의 입장도 확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은 정 의장이 미국 출장 당시 부인을 1등석에 태웠다는 ‘황제 방미’ 의혹을 이날도 제기했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의 단식도 지속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단식 투쟁을 중단할 것을 당부했지만 이 대표는 “지금 그만둘 수 없다”고 고사하기도 했다.

다만 여야간 물밑 접촉이 계속되고 있는데다 양쪽의 부담도 커지고 있어 국회의장의 중립 의무를 명문화한 ‘정세균 방지법’을 개정하는 수준에서 협의가 이뤄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