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김용 WB 총재 "아동성장지연 방치하는 국가 매년 공개"



한국계 미국인인 김용(사진) 세계은행 총재가 ‘아동성장지연’(child stunting)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국가들을 공개석상에서 거명하겠다고 밝혔다.

영국 일간 가디언의 지난 30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지난 27일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연임된 김 총재가 매년 열리는 다보스포럼에서 아동 성장지연을 줄이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은 국가들을 거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재는 “매년 (그 나라들의) 잠재적 투자자들 앞에서 ‘이 나라는 아동 성장지연 퇴치에 진전이 없는 나라다. 이것은 당신이 투자한 일터의 노동자들의 질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 세계 성장지연 아동을 오는 2023년까지 지금의 절반으로 줄이고 이후 7년에 걸쳐 제로로 만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면서 이런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의 하나로 이런 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김 총재는 페루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을 언급하며 이 목표가 달성 가능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장지연 아동을 둔 부모와 이들을 치료하는 병원들에 아동 상태가 나아지면 지원금을 매월 제공하고 그렇지 않으면 중단하는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프로그램은 2000년대 중반 28%이던 페루의 성장지연 아동 비율을 7년 만에 14%로 떨어뜨렸다고 그는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 2012년 기준으로 전 세계 5세 미만 아동 6억6,700만명 가운데 24%인 1억6,200만명이 성장지연 아동으로 분류된다. 이 비율이 인도는 38.7%, 파키스탄은 45%, 아프리카 DR 콩고는 70% 등에 각각 달한다. 아동 성장지연의 주된 원인은 영양실조다. 신체적으로 발달이 덜 된 상태에서 태어나거나 영유아기에 영양실조를 겪기 때문이다. 아울러 불량한 위생 환경에 따른 잦은 설사 등 감염 재발에서 비롯되기도 한다./변재현기자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