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 중단 vs LGU+ 유지…휴대폰 다단계 '마이웨이' 왜

SKT "판매량 적은데 논란만"

이르면 연내 영업 전면 중단

"1건 빼곤 피해 입증 안된 낭설"

LGU+, 전수조사 뒤 지속키로

업계 "단통법으로 가격경쟁 제한

후발주자 열세 만회 위한 선택"

장동현 SK텔레콤 사장장동현 SK텔레콤 사장




휴대전화 및 요금상품의 다단계 판매를 놓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대표들의 ‘마이웨이’ 행보가 한층 대비돼 그 속사정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장동현 SK텔레콤 사장은 이르면 연내 다단계 영업 전면 중단을 추진하는 반면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은 다단계의 폐해가 입증되지 않는 이상 영업을 지속하기로 했다.


권 부회장의 고민은 LG유플러스의 최고경영자로 선임된 지난 연말부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동통신사들로부터 영업 위탁을 받아 통신요금제와 휴대전화를 판매해온 일부 다단계 업체들이 불법영업 등을 했다는 사회적 논란이 지난해 한층 불거지자 권 부회장은 이후 수 차례 임원, 간부들과 위탁 중단 여부를 숙의했다. 결론은 ‘결정 유보’. 업계 고위 관계자는 “이통사들의 위탁을 받은 다단계업체들이 과장·사기성 영업을 한다는 논란이 커지자 LG유플러스가 전면적인 진상조사를 벌여보니 과거 할머니 한 분이 다단계업체의 과장 영업으로 피해를 입은 것 1건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입증되지 않은 낭설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권 부회장은 피해가 나오지 않는 이상 위탁을 계속한다는 유보 결론을 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그에 비해 SK텔레콤은 다단계와의 결별을 과감히 선언했다. 장 사장은 지난 7월 다단계영업 퇴출을 공식화한 상태다. 이에 따라 지난해까지만 해도 월간 최대 1,000~2,000대 가량을 기록하던 SK텔레콤의 다단계 휴대전화 위탁판매 실적이 급감해 올해 9월에는 120대 수준에 그쳤다. 장 사장은 이르면 연내 다단계 판매 제로(0)를 이루기로 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은 휴대전화 전문다단계업체보다는 암웨이 등 다양한 생활상품을 다루는 일반 다단계업체에 위탁을 줬기 때문에 경쟁사보다 다단계 판매 비중이 매우 미미한 수준이었다”며 “판매실적도 크지 않은데 작은 문제라도 일으키는 것을 막기 위해 위탁을 중단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근본적으로는 이통시장의 경쟁규제 환경이 두 회사의 입장차를 초래했다는 시각도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유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시행으로 이통사간 가격경쟁에 제한이 걸리면서 LG유플러스와 같은 후발주자로선 다단계와 같은 대안을 통해서라도 열세를 만회하려 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게 통신업계의 지적이다. LG유플러스의 다단계 위탁 휴대폰판매 실적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월간 최대 2만~5만대에 이르렀다. 현재는 불법영업을 예방하기 위한 LG유플러스의 자체적 상시감독으로 인해 영업이 위축돼 월 1만대 정도의 휴대폰을 다단계를 통해 판매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