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외국인 직접투자 3분기까지 150억달러 돌파…역대 최대

EU·중국 투자 ‘껑충’…“한국경제 기반·잠재력 높이 평가”

올해 9월까지 한국에 투자하겠다고 신고한 외국인직접투자(FDI) 규모가 150억달러를 넘겨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월 외국인 직접투자(신고 기준)는 전년 같은 기간(132억7,000만달러)보다 13.4% 늘어난 150억5,000만달러(한화 약 16조6,000억원)로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고 4일 밝혔다.


3·4분기 실적 또한 역대 최대 규모인 44억9,000만 달러다. 지난해 3·4분기(44억 달러)보다는 2.1% 늘었다.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는 외국 기업이 한국에 얼마나 투자하고 싶어하는지를 반영하는 지표다. 박성택 산업부 투자정책관은 “FDI는 외국기업의 대(對)한국 투자의향을 반영하는 지표”라며 “세계 경기침체, 북핵 사태 등 불확실한 대내외 여건에도 한국 경제의 펀더멘탈과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나라별 투자규모를 보면 유럽연합(EU)이 제조업·서비스업에서 모두 고른 성장세를 보이며 194.8% 급등한 53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의 35.3%를 차지한다.

중국은 지난해의 경우 안방보험의 동양생명 인수 건(9억8,000만달러)을 제외하면 3·4분기까지 5억5,000만달러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16억6,000만달러로 껑충 뛰었다.

미국은 제조업 부문에서 투자액이 많이 증가한 반면, 서비스업에서 감소하면서 전반적으로는 보합세를 유지했다. 투자액은 전체의 20.4% 수준인 30억7,000만달러다.


8억9,000만달러를 신고한 일본은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전년 대비 감소율은 1분기 44.3%, 2분기 22.4%, 3분기 12.6%로 꾸준히 줄어들었다.

관련기사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2% 증가한 43억2,000만달러로 집계됐다. 바이오헬스, ICT 융합, 고급소비재 등 미래성장동력으로 육성 중인 신산업 분야의 투자 확대가 주목된다. 서비스업 투자도 전년 동기 대비 14.9% 증가한 102억3,000만달러를 기록, 증가세를 이어갔다.

유형별로는 고용창출 등의 경제효과가 큰그린필드형 투자(해외투자 시 기업 스스로 부지를 확보하고 공장과 사업장을 설치하는 방식)가 108억2,000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6.3% 늘어난 것과 달리 인수합병(M&A)형 투자는 42억3,000만 달러로 10.2% 감소했다.

반면 도착기준 외국인 직접투자는 지난 9월까지 모두 66억8,000만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의 111억8,000만달러보다 40.2% 감소했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전 세계적인 투자 위축, 지난해 대형 투자건 도착에 따른 기저효과, 투자신고 후 실제 투자까지 상당 기간이 소요되는 제조업 투자의 증가세 등이 영향을 미쳤다.

한편 산업부는 세계 경기침체 장기화, 브렉시트 협상,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불확실성 심화로 투자여건이 녹록치 않은 상황을 고려해 외국인투자 유치 활동에 정책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지난주 외국인투자주간(FIW) 투자가 라운드테이블, 1:1 상담회를 통해 발굴된 유망프로젝트를 대상으로 1:1 전담관리 시스템을 구축, 조기에 투자 현실화한다. 또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 투자국을 대상으로 맞춤형 통합 투자설명회(IR)을 개최하고 고위급 회담 등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신산업 육성, 양질의 고용창출 등 국민경제 기여도가 높은 외국인투자가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이철균기자 fusioncj@sedaily.com

이철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