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노벨 물리학상, 마이클 코스털리츠 “완전한 무지가 과학에 도전”

노벨 물리학상, 마이클 코스털리츠 “완전한 무지가 과학에 도전”노벨 물리학상, 마이클 코스털리츠 “완전한 무지가 과학에 도전”




4일(현지시간) 발표된 올해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자인 마이클 코스털리츠(73) 미국 브라운대 교수는 수상의 영예를 안긴 연구에 착수한 때는 20대였다면서 “완전한 무지”가 기존 과학에 도전하는 데 장점이 됐다고 밝혔다.


코스털리츠 교수는 수상 발표 직후 AP 통신과 인터뷰에서 “당시 나는 어떤 선입견도 없었다”면서 “뭐든 달려들 만큼 당시 나는 젊었고 어리석었다”고 전했다.

코스털리츠 교수는 데이비드 사울레스(82) 미국 워싱턴대 명예교수, 덩컨 홀데인(65)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등과 함께 이날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됐다. 핀란드에서 교환교수로 잠시 머무는 코스털리츠 교수는 점심을 하러 헬싱키로 가려는 주차장에서 수상 소식을 전해들었다면서 “약간 멍하다”고 말했다.

이들을 수상에 이르게 한 연구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연구들로서 수십년에 걸친 영향이 평가를 받았다.

노벨상 위원회는 “이들의 발견은 응집물질물리학 연구를 진흥시켰을 뿐 아니라 새로운 세대의 전자공학과 초전도체 및 미래 양자컴퓨터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홀데인 교수는 스톡홀름 발표 기자회견장과 연결된 전화 인터뷰에서 “매우 놀랐고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 연구에 기반을 둔 수많은 대단한 새로운 발견들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바로 지금”이라며 “이런 새로운 물질들이 커다란 영향을 갖기를 바라는 큰 희망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또 “우연히 이런 발견을 하게 된 것”이라며 “대발견은 대개 이런 식으로 이뤄졌다”고도 말했다.

한편 3명이 모두 영국 태생으로 미국 대학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영국 캠브리지대 물리학 명예교수 마틴 리스는 일간 가디언에 대학 예산이 축소되고 있던 시기에 미국으로 “이탈한” 영국인들이라고 언급했다.

리스 교수는 “지금 영국 과학계는 그때보다 훨씬 강하다. 부분적으로는 유럽 대륙의 과학 강화 때문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사진=노벨위원회 홈페이지 캡처]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