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박홍근 “SKT, 유통점 불법 지원 정보 원격 삭제하는 SW 운영”, SKT “삭제 기능 자체가 없다”

박홍근 더민주 의원, 미방위 국감 자료 통해 주장

“허위·과장 판매점 지원 증거 없애 단통법 조사 방해 목적”

SKT “SW는 개인정보 보호용, 원격 편집·삭제 기능 아예 없어, 사실 무근” 반박

SW 개발업체는 방통위·박 의원실에 “사실 아니다” 공문 보내

SK텔레콤이 과잉 보조금·경품 등 불법 영업에 대한 단속을 피하기 위해 각 유통점의 기록을 원격 삭제하는 소프트웨어(SW)를 운영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해당 SW에 원격 편집 또는 삭제 기능이 아예 없으며, 너무 오래 보관하는 고객 개인정보를 유통점 차원에서 삭제하기 위한 SW일 뿐”이라고 의혹을 부인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박홍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6일 SK텔레콤이 전국 대리점·판매점에 설치한 SW인 ‘PIPS’가 영업 기록을 일괄 삭제하는 기능을 갖춰 방송통신위원회의 조사를 방해하려는 목적이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실은 PIPS의 ‘관리자 가이드’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이 SW가 방통위 단속의 핵심 증거인 ‘판매일보’와 ‘정산자료’를 유통점 PC에서 쉽게 편집·전송·삭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박 의원실은 “이는 가입자 개통정보와 장려금 정산 파일 등을 본사가 직접 통제할 수 있다는 뜻으로, 방통위 조사가 이뤄질 때 영업 현장에 따로 자료 삭제를 지시할 필요 없이 증거를 인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이 같은 의혹이 사실 무근이라고 반박했다. SK 텔레콤 관계자는 “PIPS를 사용하는 유통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전체의 30%에 불과하며, (PIPS에) 다른 PC의 보관 파일을 원격으로 열람·편집·삭제할 수 있는 기능 자체가 없다”며 “판매점과 대리점의 정산과정에서 오래된 고객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PIPS에 판매 정보가 8개월이나 저장이 돼 있는데, 조사 방해가 목적이라면 이렇게 길게 갖고 있겠나”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PIPS의 개발사인 씨투아이소프트는 박 의원이 해당 주장을 제기한 직후인 이날 오전 박 의원실과 방송통신위원회에 “박 의원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