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하철 사당·선릉역 냉각탑서 레지오넬라균 검출

서울시 15개 주요역 일제 검사,

"지하철 냉각탑 매년 검사하겠다"

서울시는 7∼9월 이용객이 많은 15개 지하철 역에서 시범적으로 레지오넬라균 검사를 한 결과 사당·선릉역 등 2개 역에서 해당 균이 검출됐다고 6일 밝혔다.

균 검출량은 사당역 2만 2,000CFU/L, 선릉역 1만 200CFU/L이었다. 2∼3주 후 재검사에서 외려 균이 늘어나면 청소나 살균소독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요주의 범위라고 서울시는 말했다.

레지오넬라균 검출 시 조치는 크게 바람직한 범위와 요 관찰 범위, 요주의 범위, 긴급 처지 범위가 있다. 균 수가 100만CFU/L이 넘으면 즉시 화학적 청소와 살균소독을 해야 하는 긴급 처치 범위다.


서울시는 즉시 소독 후 재검사하고 메트로와 분당선 등 시설관리기관에 소독을 강화, 냉각탑과 인도변 사이에 수목을 심으라고 권고했다.

관련기사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앞으로 매년 지하철 냉각탑 레지오넬라균 검사를 시행할 계획”이라며 “질병관리본부 레지오넬라증 관리지침에 지하철 냉각탑 검사도 추가하는 방안을 건의해 긍정적인 답변도 받았다”고 말했다.

레지오넬라균은 냉각탑과 목욕탕 등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잘 번식한다. 오염된 물 속 균이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면 발열과 기침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 폐 질환자나 당뇨병 환자, 고혈압 환자 등은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지난달 26일까지 서울시 레지오넬라균 확진 환자는 총 20명이다.

레지오넬라균레지오넬라균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