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옥중화' 잊을만하면 튀어나오는 떡밥, ‘뿌린만큼 거두리라’

이병훈-최완규 콤비의 촘촘한 구성 돋보여

‘뿌린만큼 거두리라’

MBC 창사 55주년 특별기획 ‘옥중화’(연출 이병훈, 최정규/ 극본 최완규/ 제작 ㈜김종학프로덕션)의 떡밥 회수 능력이 갈수록 빛을 발하고 있다.


‘옥중화’의 떡밥은 1회부터 등장했다. 옥녀(진세연)의 어머니 가비(배그린)가 유품으로 남긴 쌍가락지와 뒤꽂이가 바로 옥녀의 출생의 비밀을 풀 중요한 열쇠였던 것. 이후 잠시 극 전개에서 자취를 감췄던 쌍가락지와 뒤꽂이는 옥녀가 자신의 뿌리 찾기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강렬하게 재등장했다.

‘옥중화’의 떡밥 회수 능력이 빛을 발하고 있다/사진=‘옥중화’ 영상캡쳐‘옥중화’의 떡밥 회수 능력이 빛을 발하고 있다/사진=‘옥중화’ 영상캡쳐


쌍가락지는 가비가 동궁전 나인이었다는 증거임과 동시에 한상궁(이승아)과 인연을 맺게하는 매개체 역할을 했다. 뿐만 아니라 뒤꽂이는 선대왕인 중종이 승은을 입은 궁녀에게만 하사하던 것임이 밝혀지며 옥녀가 옹주임을 증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박태수(전광렬)의 유품 또한 미리 준비되어 있던 떡밥이었던 것이 밝혀졌다. 과거 박태수는 손자인 성지헌(최태준)에게 막대한 양의 황금과 명나라 황제의 칙서(임금이 특정인에게 알릴 일을 적어서 내리는 글)를 유산으로 남긴 바 있다. 이에 옥녀와 지헌은 황금으로 얻은 거금을 부모의 원수인 윤원형(정준호)과 정난정(박주미)에게 대적하기 위한 비밀 상단을 조직하고, 중소상단을 규합하는데 사용했다.

관련기사



이 과정에서 시청자들에게 칙서의 존재는 흐릿해졌다. 그러나 이 칙서는 지난 41회에 강력한 무기가 되어 돌아왔다. 소윤 세력의 계략에 의해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 대윤을 살릴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 된 것.

이처럼 ‘옥중화’는 극 초반 전개 속에 자연스럽게 녹여놓은 장치들을 중요한 사건의 해결 수단으로 사용하며 극의 개연성을 강화했고, 자칫 흐트러지기 쉬운 50부작의 긴 흐름을 하나로 묶었다. ‘옥중화’가 후반부로 갈수록 뒷심을 발휘하고 있는 것 역시 이병훈-최완규 콤비의 이러한 구성력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옥중화’에 떡밥은 하나만 남았다. 옥녀 어머니의 도피를 도운 종사관 이명한(박주영)의 “가슴에 맺힌 한은 뱃속의 아이가 풀어줄 것입니다.”라는 한마디. 과연 옥녀가 이명헌이 남긴 말처럼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어머니의 한을 풀어줄 수 있을지 향후 전개에 귀추가 주목된다.

이하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