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주민등록상 '1인 세대' 739만명…전체 34.8%로 1위



주민등록상 세대원이 1명인 ‘1인 세대’가 739만에 달해 전체 세대의 34.8%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6일 행정자치부가 분석한 9월 말 기준 주민등록 통계에 따르면 전체 2,121만 4,428 세대 가운데 1인 세대가 전체의 34.8%로 1위였다. 2인 세대 21.3%, 4인 세대 18.7%, 3인 세대 18.5%, 5인 세대 5.1%, 6인 세대 1.2%, 7인 이상 세대 0.4% 등이 뒤를 이었다.

1인 세대의 세대주 연령별로 보면, 50대가 19.7%로 가장 많고 40대가 17.5%, 30대 17.1%, 60대 14.9% 등 순이다. 만 17세 미만인 미성년 1인 세대는 8,918세대(0.1%), 만 100세 이상은 1만 2,438세대(0.2%)가 있었다.


미성년자가 혼자 산다고 신고한 1인 세대 중 상당수는 외국인 어머니와 거주하는 사례로 보인다. 이혼 등에 따라 외국인 어머니가 자녀와 세대를 새로 구성하는 경우 주민등록법에 따라 외국인은 세대주로 전입신고할 수 없어 한국 국적인 자녀만 신고해 1인 세대로 분류되기 때문. 만 100세 이상인 세대주는 실제로 독거 노인인 경우보다 행방불명 등에 따라 거주불명자로 등록된 사례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지난달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66만 4,244명으로 지난해 말보다 13만 4,906명(0.26%) 증가했다. 세대 당 인구는 2.44명이다.

1인 세대는 주민등록 인구 데이터베이스를 전산적으로 처리한 2008년부터 31.6%로 가장 비중이 컸었다. 2010년 33.3%, 2014년 34.0%, 올해 9월 34.8%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